제12차 중국여행 13/17일차 보정시 직례총독서直隶总督署(2018.5.24 목)
太美風尙TIME FASHION BOUTIQUE HOTEL
중국 하북성 보정시 동풍중로東風中路 1369호
호텔에서 35번 버스타고 청나라 시절 직례성 총독의 관아인 직례총독서로 갔다.
버스비 1원씩
직례총독서 구경하고 나와서 길건너를 바라본다.
가까이 높이 33.6m 기간旗杆이 보이고, 길건너 보인 석패방 왼쪽에는 고연화지古蓮花池가 가까운 곳에 있다.
직례성총독서 대문,입장료는 30원씩
편액으로 마치 활자체 글씨로 직례총동부원直隷總督部院이라고 적혀있어 허줍잖은 그냥 건물인 줄 알았는데
이게 주요 건물 중 하나인 대문이라고 한다.
总督署的黑色三开间大门,坐北朝南,位于1米高的台阶上,大门上方正中悬一匾额,上书“直隶总督部院”。大门外还有一组封闭性的院落,由东西班房、东西辕门、鼓亭、乐亭、照壁、旗杆等组成。大门前对称的两根旗杆由民国年间直鲁豫巡阅使曹银初建(复建于1994年),各高33.6米,为全国古建旗杆之最。院内有数十株粗大的桧柏,冬季,数百只猫头鹰栖息其上,“古柏群鹰”称为衙内一景。
원문辕门
총독서 앞 인도를 가로지르고 있길래 뭔가 궁금하였는데 원문辕门이라 부르며 군영의 문,관청의 바깥문 등을 뜻한다는 걸 나중에 사전을 찾아보고서 알았다.
원문 바로 오른쪽이 총독서로 들어가는 앞 마당이다.
청대 수부 제일 관아 직례총독서 소개글
직례성도
지금의 하북성 보다 몇 배 크다.
직례는 황제에게 직접 예속되어 있다는 성이란 뜻인데 한국으로 치면 경기도라는 뜻일테다.
이러한 거대한 강역을 다스리는 직례성인지라 정치 거물들이 총독으로 부임하였었다.
증국번 이홍장 원세개 등~~~
인터넷에서 찾아낸 直隷城
直隶总督署,又称直隶总督部院,位于河北省保定市裕华路,是中国保存完整的一所清代省级衙署。
原建筑始建于元,明初为保定府衙,明永乐年间改做大宁都司署,清初又改作参将署。
1730年(清雍正八年)经过大规模的扩建后正式建立总督署,历经雍正、乾隆、嘉庆、道光、咸丰、同治、光绪、宣统八帝,可谓是清王朝历史的缩影。曾驻此署的直隶总督共59人66任,如曾国藩、李鸿章、袁世凯、方观承等直到1912年清朝末代皇帝溥仪逊位才废止。
民国年间是直系军阀曹锟的大本营。抗日战争和解放战争期间,曾是日伪和国民政府河北省政府所在地,有“一座总督衙署,半部清史写照”之称。
中华人民共和国建立后,河北省人民政府也曾驻此。
1988年1月被国务院公布为第三批全国重点文物保护单位。
直隶,因其直接隶属京师而得名。清王朝问鼎中原后承袭明制,在全国继续推行行省制度,地处京师附近的北直隶被改为“直隶省”。
清初所设置的直隶省,至光绪年间,其辖区包括今河北、北京、天津和山东、山西、河南、辽宁、内蒙古的一部分。
明代临时性的军事官职“总督”,逐渐成为清代地方最高军政长官,乾隆年间督抚制度日趋成熟后,直隶总督因直隶省独特的地理位置而名列全国八督之首。
直隶总督权重位显,集军事、行政、盐务、河道及北洋大臣于一身,其权利已大大超过直隶省范围。因直隶地处京歌,拱卫京师,稍有动乱,便会危及朝廷,故直隶总督一衔非重臣莫属。
总督作为朝廷派出的命官,并逐渐形成官制从明代开始清代定鼎北京以后,总督、巡抚的设置进一步走向制度化,清初有一段曾经是督抚并存。不久,总督由临时派遣转为定制,由专管军务发展到综理军民要政,实际已成为地方最高军事、行政长官。直隶总督的权力很大,一般为正二品官员,凡加尚书衔者,为从一品,统管全省官吏任免、节制军队、诉讼审判、外交处理、题奏咨请、省例定制、岁计审核等军民要政,涉及政治、经济、军事方方面面,代表清政府管理一方,又向朝廷负责。
直隶是天子脚下的重地,其地位尤为重要,直隶总督经历了由中央直辖到地方统辖的过渡时期。统兵是总督的专责,直隶总督统兵除了维护地方安全外,还负责保卫京师的重任,因此当时有诗云:“三资辅为政,屏藩卫帝京。”说明朝廷对直隶总督统兵保卫京师格外关注。
直隶总督署的建筑布局,既承袭了前代衙署的特色,同时又受到了明清北京皇家宫殿建筑布局乃至民居建筑规制的影响。整座直隶总督衙署建筑座北朝南,东西宽134.4m(合清制42丈),南北纵深约224m,共占地三万余平米,其建筑分东、中、西三路。中路至今保存完好,有大门、仪门、大堂、二堂、官邸、上房五进院落,配以左右厢房耳房,均为小式硬山建筑。东路的东花厅、外签押房等建筑基本保存完好。
直隶总督署大门以外,清时曾建有辕门、照壁、旗杆、乐亭鼓亭、一对石狮、东西班房,以及西辕门外专供每日报时及拜发奏折之用的炮台等附属建筑。这些建筑如今虽大多不存,但其所组成的半封闭格局,以及造就的威严气氛,曾给人以森严神秘,望而生畏的感觉。中路建筑坐落在督署的中轴线上,大门内的主要建筑自南而北依次有大门、仪门、戒石坊、大堂、二堂、内宅门、官邸、上房、后库以及仪门以北各堂院的厢房、耳房、回廊等附属建筑。
의문儀門(08:19)
주인이 손님을 맞고 전송하던 곳이다.
乾隆皇帝가 쓴 “위무기강威抚畿疆” 匾额을 보지는 못했다.
계석방戒石坊
계석방은 공생명公生明 패방이라고도 한다."공명해야 사태의 본말을 명찰할 수 있다"는 뜻일게다.
글씨는 북송의 서예가 황정견이 쓴 것이다.
저 북쪽인 저 뒷쪽에도 황정견의 글씨가 있는데 사진으로 남기지는 못했다.
한국에 돌아와서 인터넷에서 찾은 황정견 글씨.....
어제계석명御製戒石銘 이봉이록爾俸爾祿 민고민지民膏民脂 하민이학下民易虐 상천난기上天難欺
"너희의 봉록은 백성들의 피땀이니 아래로 백성에게 사납게 하는 것은 쉽지만 위로 하늘을 속이는 것은 어렵다"
대당 大堂
중요한 의식 활동을 진행하는 곳이다.
总督署大堂,五开间,长22米,进深10米,高9米,是总督署的主体建筑。堂前有抱厦三间,堂外有砖砌的13米见方的露台。以黑色油饰为基调的大堂布置的森严肃穆。
大堂正中有屏风一座,屏风中间绘有丹顶鹤、海潮和初升的太阳,象征一品文职大员。屏风上悬挂的“烙恭首牧”匾,为雍正皇帝的亲笔御书,是雍正帝御赐直隶总督唐执玉的。室内陈列的公案桌、浩封架、职衔牌、万民伞和车轿等物品,是总督的办公用品和出巡仪仗。
该堂是举行重大庆典活动的场所。大堂明柱上悬挂着醒目的抱柱联,其中有直隶总督李鸿章70大寿时光绪皇帝及慈禧皇太后所赐的联匾。
总督署大堂,正中是乾隆皇帝手书“旗镇冀门”匾额,直隶总督的威严可见一斑。
병풍에 학,바다물결,일출이 새겨졌는데 정일품 문관을 상징한다.
병풍 위로 걸려 있는 각공수목恪恭首牧 편액은 옹정제가 직례총독 당집옥唐執玉(1669年~1733年)에게 내린 것이다.
삼가하고 공손하며 최고의 목민관이라는 뜻이다.
二堂이당
총독이 외부인을 접견하고 공무를 상의하던 곳
二堂又称“退思堂”、“思补堂”,是总督日常办公和接见外地官员的地方。东侧室为议事厅,西侧室为启事厅,是总督与幕僚议事之所。立堂呈四合院形制,布局严谨,四周庞廊贯通。托凛、廊檐、门嵋一手江南做法,雕刻精细。其木结构还留有宋、元风格。堂内悬有“政肃风清”匾额,正中竖一木雕三扇座屏,中间雕有麒麟,象征一品武职大员。
虽然直隶总督署的规模和等级与故宫无法项背,但它也是前朝后寝的格局,朝、寝的分界线就是二堂之后的内宅门,内宅包括三堂和四堂。三堂又称官邸,是总督的书房和内签押房(办公室),历任总督习经练字、著书立说,主要就在这里。四堂又称上房,这里花木繁茂,是总督及其家眷生活居住的地方。
정숙풍청政肅風淸
정사는 엄숙하게 분위기는 말게
편액 아래로 한 나무로 병풍 세 폭을 만들고 가운데에 기린을 새긴 것은 정일품 무관을 상징한다.
1876년 광사2년 북양대신 이홍장이 청나라 주재 일본 공사 森有禮을 접견하고 있는데,조선문제와 양국 개혁에 대하여 의견을 교환했다고 설명문에는 적혀있다.
삼당三堂
총독 서실
사당四堂
总督署内宅房柱上有曾国藩手书楹联:战战兢兢即生时不忘地狱 坦坦荡荡虽逆境亦畅天怀
사당四堂 내실
上房이라고도 한다.
총독의 권속들 생활 공간
원세개
4개 외국군이 대당에 들어와 직례총독 정옹廷雍을 심판하고 있는 모습.
중국 입장에서 치욕스런 모습을 밀랍으로 만들어 설명하고 있다.
1900년 광서26년 10월 12일 독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4개국 연합군이 보정에 침범해서 보정성을 불지르고 성민을 죽이고 포로로 잡았다.
의화단에 자금 등으로 지원했다는 죄목으로 직례총독 정옹 등을 체포하였다.11월 16일 4개국 장교들은 대당에서 그 "국제심판회" 심판을
진행하였는데 옹정,규항奎恒, 왕점규王占奎 3인에게 사형을 심판하고 그 목을 군중들에게 보였다.
현존하는 중국 고대 관아
경도인지 갱도인지 更道
협도라고도 한다.폭 1.8m 길이 150m,북쪽으로 상방에서 남쪽으로 의문에 이르기까지 총독서의 중,동,서 삼로를 연결하는 길이다.
우리 뒷쪽이 북쪽이고 저 앞으로 나가면 애초 들어왔던 출구쪽이고...진행하면서 왼쪽에 총독서의 부속건물이 있는데 지금은 여러 박물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판공루
1950년대까지 하북성 인민정부의 판공처로 사용했다는 건물이다.
재주원재廚院
총독관서에 음식을 제공하던 공간인데...건물을 짓지 않고 초대만 보이니 의아하다.
우물
비석
대기간大旗杆
깃발을 걸던 곳이다.
저 골목이 흥미로워 사진으로 남겼는데 간체자가 아니라 정자로 간판을 썼다.직례국학?
들어갈 수는 없었다.
이상과 같이 기억을 더듬고 자료를 찾아봐서 글을 적어봤는데
이당,삼당,사당이니 하는 것은 외형상 오해가 있었을 수도 있다.
총독서를 나와서 근처에 있는 고연화지古蓮花池로 간다.
[작성일 2018.8.22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