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3차 중국여행 7/7일차 상해시 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2018.10.11 목)
구 시가지에 자리하고 있다.
지하철로는 신천지역에서 가깝다.
상해시민들이 무심하게 거리를 지난다.
나는 어인 일로 이곳까지 왔을까!!
독립운동하신 분들의 거룩한 뜻을 새기며
의젓하게 사진을 남겨본다.
중국식 아파트 단지 안에 있다.
다음과 같이 중국인 시각으로 설명하고 있다.
大韩民国临时政府旧址(既“上海大韩民国临时政府旧址”)是一幢位于马当路的石库门房屋,建于1925年。
韩国“三一运动”以后,大韩民国临时政府几经迁移于1926年入这里,当时金九任国务领(相当于总统)。
1932年,由于韩国临时政府成员遭到日本军警的逮捕,被迫撤离上海。
但它是韩国临时政府在上海办公时间最长、保存最完整的“旧址”。
大韩民国临时政府旧址于1993年正式对外开放,曾接待过3位韩国总统,3位国会议长。
大韩民国临时政府被称为“韩国民族独立运动的圣殿”。
大韩民国临时政府现位于上海市黄浦区马当路306弄4号。
1993年复原修复工程后正式对外开放。
10多年来,“旧址”接待了百多万的韩国参观者。
2001年 “旧址”管理处又与韩国独立纪念馆全面整修建筑物。
展示了大韩民国临时政府在上海的活动概况。
现在,作为韩国独立运动的圣殿、中韩共同抗日的象征,正吸引着越来越多的中外参观者。
정부 기능을 상정하여 만든 건물이 아니고
그저 중국인민들이 살아가는 공동주택 안에 은거하듯 있었다.
중국인들은 한국어를 좀 할 줄 알았는데
좀 딱딱하여 듣기는 불편하였으나
그들의 "완장문화"를 감안하면 어쩔 수 없는 것이고
일부러 한국인 관광객에게 나쁜 뜻을 표할 생각은 아니었을 것이다.
일상적인 대화는 친절하였으며
내부 시설에 복무하는 직원들은 "관리"하는 냄새를 풍겨서
좀 억지스러웠다고 할까?
20원씩 내고 입장하였다.
복원비석
김구 주석 집무하는 모형
정부 집무실
부엌
부엌
전시물
각지에 임시정부가 수립되고 이를 통합하는 과정의 설명문
우리 민족이 해외 각지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고 설명하고 있다.
상해 보경리 대한민국임시정부 모형
성년 어른 수십 명이 사용하기에는 비좁았겠지만 본국에 독립된 정부를 세우겠다는 일념으로 견디었으리라.
중경 시절 임시정부
각지로 이동하고 있는 임시정부
이 사내는 무엇을 생각하는가!
자~
이제 대한민국으로 갑시다.
[문자 메모]
闪 [ shǎn ] 閃 1. 번개. 〓 [ 闪电 ] 2. 날쌔게 피하다. 재빨리 비키다. 3. (몸이) 갑자기 흔들리다. 비틀거리다
闪빛날 섬 1. 빛나다 2. 번쩍이다 3. 언뜻 보다 4. 피하다(避--) 5. 틈 사이로 보다 6. 엿보다 7. 번쩍이는 모양
烁 [ shuò ] 爍
형용사 빛나는 모양. 반짝반짝하다. 〓 [ 铄 ]
烁빛날 삭,벗겨질 락 1. 빛나다 2. 태우다 3. 녹이다, 녹다 4. (태워서)끊다 5. 덥다, 뜨겁다 6. 꺼지다, 끄다
7. 허물어뜨리다 a. 벗겨지다 (락) b. (벗겨져)떨어지다 (락)
闪烁 [ shǎnshuò ] 1. 깜빡이다. 가물거리다. 2. 번쩍이다. 번뜩거리다. 〓 [ 闪耀 ] 3. 어물어물하다. 얼버무리다.
[2018.12.26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