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화궁에서 나와 느릿한 걸음으로
관광지도에 나와 있는 국자감이라는 곳으로 향하고 있지만
사실은 공묘 또는 문묘라고 불리는 곳이다.
국자감은 한국에서는 고려시대 최고학부라고 배운듯하다.
이후 성리학이 전해질 때 성균관이 최고학부의 명칭이 되었고 조선시대에도 이어진다.
국자감으로 지나는 길에 가로수는 우거지고 골목은 고풍스럽다.
거리 이름이 국자감가國子監街이다.
국자감 앞 그늘에서 귤즙 10원어치 사마셨다.
귤 하나를 현장에서 착즙하여 바로 내놓는 것이다.
책집에 들렀다.
조선의 선비들의 일생의 꿈은 문묘 알성이었을 것이고
이곳에 왔다면 이 근처 즐비했을 종이집 책집을 들렀을 것이다.
책 32원어치 샀다.
북경 공묘 및 국자감 박물관을 소개하고 있다.
북경 공묘는 중국 원,명,청나라 때 공자에게 제사를 지낸곳이다며,남경 부자묘,길림 공묘,곡부 문묘와 더불어 중국 4대 문묘라고 한다.
나는 길림 공묘와 곡부 문묘를 이비 다녀왔으니 중국 4대 문묘중에서 아직 남경 문묘만 가지 않은 상황이 된다.
바이뚜 검색에 의하면
북경 공묘는 원나라 大德六年 석 1302년에 짓기 시작하고 1306년에 건성하였다.
명나라 영락 9년 1411년에 중수했다고 되어 있는데
위 안내판에는 1287년에 짓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대략적인 건물 배치>
北京孔庙坐北朝南,占地约2万平方米,有四进院落。主体建筑顺次为先师门、大成门、大成殿、崇圣祠。前院东面有碑亭、神厨、省牲亭、井亭;西面有碑亭、致斋所,并有持敬门与国子监相通。两侧排列着198座元、明、清三代进士题名碑。
大成门面阔五间,台基四周有白石护栏,前后三出陛。中陛有雕龙御路,黄琉璃筒瓦单檐庑殿顶,东西稍间内置鼓悬钟各一,两侧放置清乾隆年间仿制的石鼓10枚。大成门左右各有一座角门通向中院,中院甬路两旁有11座明清两代的记功碑亭,还有一座砖砌焚帛炉和一口经清高宗赐名“砚水湖”的古井以及古树“除奸柏”。大成殿是从前举行祭孔典礼的地方,是孔庙的主体建筑,面阔九间,进深五间,黄琉璃筒瓦重檐庑殿顶。前檐装修为菱花格扇门窗,砖石台基四周出石护栏。崇圣祠在大成殿后,自成一座独立的小四合院。南面为正门——崇圣门三间,北面正殿为崇圣祠五间,东西各有配庑三间。崇圣祠及崇圣门为绿琉璃筒瓦歇山顶,配庑为灰筒瓦硬山顶。
<역사적 배경>
北京孔庙,始建于公元十四世纪的元朝。
元世祖忽必烈定都北京后,为了加强思想统治,笼络汉族的封建贵族和士大夫,下令袭历代旧典,命宣抚王楫于金枢密院建宣圣庙,祭祀孔子。据《元史·哈刺哈孙传》:“京师久阙孔子庙,而国学寓他署,乃奏建庙学。”
至了1302年(元成宗铁木耳大德六年),在今址正式建庙,于1306年(大德十年)建成。
根据“左庙右学”的礼制,同年在孔庙西侧,建国子监,又称太学。
1307年特诏命孔子加谥为“大成至圣文宣王”,这块“加号诏书”石碑,现仍耸立在大成门前。
1331年(元文宗至顺二年),皇帝下诏恩准孔庙配享宫城规制,许孔庙四隅建角楼。
元末,孔庙荒废。
1411年(永乐九年),又重新整治,并修缮了大成殿。
1429年(宣德四年)修整了大成殿及两庑。
1530年(嘉靖九年)为祭祀孔子五代先祖,增建崇圣祠。
1737年(乾隆二年)皇帝亲谕孔庙使用最高贵的黄琉璃瓦顶,只有崇圣祠仍用绿琉璃瓦顶。
这时的孔庙已是红墙黄瓦,金碧辉煌了。
到了1906年(光绪三十二年)祭孔的礼节升为大祀,孔庙也大规模地修缮。
工程尚未完成,清朝被推翻,但修缮仍继续进行,到了1916年才最后竣工。
至此孔庙形成了今天的规模和布局。
선사문先師門
공묘의 정문인데 지금은 매표소 역할을 한다.입장료 30원인데 아내는 거리에서 쉬고 싶다한다.
선사문은 명청 시대에 여러차례 보수하였지만 여전히 원나라 시대 풍격이 남아 있다고 한다.
先师门
孔庙正门,门前立有琉璃牌坊及下马碑。大门院内
东侧设有神厨、井亭、宰牲亭;
西侧 有神库、致斋所等,环境神秘而典雅。
先师门明清两代虽多次修葺,仍保留元代风格。下马碑刻满、汉、蒙、回、藏、托忒文等六种文字:官员人等至此下马。
진사제명비進士題名碑
선사문 들어와서 동서 양측에 198통 51,624명의 진사의 성명,고향 및 성적(状元、榜眼、探花 등)이 기록되어 있다.원나라 때 것은 3통이다.
이 비석들은 과거제도 연구에 귀중한 자료라고 한다.
대성문
공묘 두번째 문
大成门
大成门是孔庙的第二道门。门内曾陈列石鼓10座,因其形似鼓而得名,石鼓系公元前8世纪周宣王时期的遗物。
每鼓刻有记述周宣王游猎故事的四言诗一首,故又称“猎碣”。鼓上雕刻着古今闻名的石鼓文,为中国稀世文物。
石鼓出土于唐朝时的陕西凤翔(今陕西宝鸡),宋徽宗时移置汴京(今河南开封),金太宗时移置燕京(今北京),元代建成孔庙后置于大成门内,抗战前文物南迁,又运至南京,胜利后运回北京故宫保存。
现存此处的石鼓,是清乾隆时的复制品,石鼓旁立有清乾隆五十五年(1790)御制《集石鼓所有文成十章制鼓重刻序》碑。西侧有清代书法家张照草书韩愈《石鼓歌》。
大成门左右两侧有元碑2座。东为元大德十一年(1307)孔子加号“大成至圣文宣王”碑,西为四配(颜回、曾参、孔伋、孟轲)加号(复圣、宗圣、述圣、亚圣)碑
대성문 앞 동쪽에 있는 공자가호비
원나라 대덕 11년 1307년에 공자에게 "大成至聖文宣王”이라는 칭호를 더한 것을 기념한 비석이다.
대성전 앞
대성전 앞 어제기공비御制记功碑
황제가 지은 비문 14좌가 있다.
공묘를 수선하고 공자에게 제사를 지낸 활동사항을 기록했을뿐만 아니라
명청시대 황제들이 중국을 통일한 업적을 기록하였다고 한다.
내 실력으로는 전혀 해독해낼 수 없다.노안 독해력 부족 글씨 마모
어제비 중 하나
御制记功碑计14座,分别竖于大成门院内东西两侧的碑亭内。
大成门外3座,
《明英宗建太学碑》、
清乾隆三十四年(1769)《重修先师庙并颁周彝器谕旨碑》和
清道光九年(1829)《平定回疆告成太学御制文》。
大成门内有碑11座:
有康熙二十五年(1686)《御制至圣先师孔子赞碑》、
清雍正三年(1725)《平定青海靠成太学御制文碑》、
清乾隆四年(1739)《临雍纪事碑》、
乾隆二十二年(1757)《平定准噶尔告成太学御制文碑》、
乾隆四十一年(1776)《平定两金川告成太学御制文碑》、
乾隆三十四年(1769)《重修文庙御制文碑》、
康熙二十八年(1689)《御制四字赞碑》、
康熙四十三年(1704)《平定朔漠告成太学御制文碑》、
雍正六年(1728)《二月仲丁躬祭文庙御制石碑》、
乾隆十四年(1749)《平定金川告成太学御制文碑》、
乾隆二十四年(1759)《平定回部告成御制文碑等》。
촉간백觸奸柏이라 불리는 700년 된 측백나무
觸奸柏이 무슨 뜻일까? 간신을 건드린 측백나무라는 뜻일까?
간신임을 알아챈 측백나무라는 뜻일까?
触奸柏是孔庙内最大的一棵柏树,相传是元代国子监祭酒--许衡所植,已近七百年的历史,至今繁枝盘错,挺拔苍翠。
传说明朝奸相严嵩代嘉靖皇帝祭孔时,行至树下,树枝揭掉了他的乌纱帽。
几年后又长出了一个树瘤,横看似一个龙爪抓住了一个人头。
这人应为惊恐面部扭曲。人们便认为柏树有知,能够辨别忠奸,因此称之为“触奸柏”或“辨奸柏”。
대성전大成殿은 제사를 지내는 주 건물이다.
这是一座下有月台,"九五"开间,红墙黄瓦,重檐庑殿顶最高等级的雄伟建筑。
殿内主座设置有孔子画像及其神牌位。主位两侧分立有颜回、孔伋、曾参、孟轲四大弟子的配享牌位。
此外于东西两边还置有十二哲(闵损、冉雍、端木赐、仲由、卜商、有若、冉耕、宰予、冉求、言偃、颛孙师、朱熹)的牌位。
大成殿
始建于元大德六年(1302),后被毁。
明永乐九年(1411)在原址重建。
清乾隆二年(1737)将主殿殿顶改用黄琉璃瓦。
光绪三十二年(1906)为大祀孔子,大成殿由七间三进改为九间五进。
大殿内原挂有清朝历代皇帝的御题大匾,大殿正中悬挂康熙二十三年(1684)御笔“万世师表”匾,
殿内檐周围悬挂九位清朝皇帝和民国大总统黎元洪的金字匾额:
雍正的“生民未有”、
乾隆的“与天地参”、
嘉庆的“圣集大成”、
道光的“圣协时中”、
咸丰的“德齐帱载”、
同治的“圣神天纵”、
光绪的“斯文在兹”、
宣统的“中和位育”及
黎元洪的“道恰大同”。
清代时每年仲春与仲秋的两次祭孔活动,均在此殿举行。为弘扬民族传统文化,现在仍有娱乐性的“祭孔”礼仪表演以供游人观瞻。大成殿院落东西两庑房,原是放置历代先儒哲人从祀牌位之处,现已辟为首都博物馆。
대성전 중앙 현판 만세사표는 강희제 글씨
도흡대동道洽大同
공자님의 도로 온 세상 화합한다는 뜻
중화민국 당시 대총통 여원홍黎元洪 글씨
주위에 있는 글씨는 청나라 황제들의 것이다.
대성전 안에는 온갖 제례의물들이 전시되어 있고
제사 지내는 모습도 사진으로 남겨있다.
위 사진의 오른쪽 윗쪽 사진에는 1938년 일본 침략자 제례라는 제목이 붙어 있다.
대성전 뒷쪽에 숭성사崇聖祠가 있는데 사진으로 남기지는 않았다.
원래 이름은 계성사啓聖祠이며 명나라 嘉靖九年(1530)에 세웠다.
공자의 부모와 그 선대에게 제사를 지내기 위해 지었고
청나라 雍正元年(1723)에 崇聖祠로 이름을 바꾸었다.
중국 명승고적을 답사하다가 느낀 것인데
주요 인물을 배향한 곳에서 그 윗대나 배우자를 별도로 모시는 공간이 있곤한다.
'중국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2차 중국여행 16/17일차 북경시 공왕부 (2018.5.27 일) (0) | 2018.07.01 |
---|---|
제12차 중국여행 16/17일차 북경시 국자감 (2018.5.27 일) (0) | 2018.07.01 |
제12차 중국여행 16/17일차 북경시 옹화궁 (2018.5.27 일) (0) | 2018.07.01 |
제12차 중국여행 16/17일차 북경시 지단공원 (2018.5.27 일) (0) | 2018.06.30 |
제12차 중국여행 15/17일차 북경시 이화원 (2018.5.26 토) (0) | 2018.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