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정읍시 용산저수지,다른 이름 석산지와 관련한 기념탑
장인어른과 처 이모님을 모시고 이곳 단풍미* *우에 왔다가 흔적 몇 장 남긴다.
탐진 안씨 공적비
탐진안씨의 시조는 고려조 문성공 안향이시다.
임진왜란 때 내장산에 조선왕조실록을 보존할 수 있었던 그 선비 안 의~~
산금을 따라 보면 어떤 여인의 옆모습이 보인다고 한다.
용산저수지
‘석산지’라고도 한다.
주변에 입암산성이 있고 내장산 망해봉이 보이는 풍광이 뛰어난 대규모 저수지다.
물이 맑고 깨끗하며 참붕어, 잉어, 동재개, 메기, 향어 등 어자원이 풍부하여 민물 낚시꾼들이 많이 찾는다.
저수지 상류쪽으로 올라가면 예전에 향어를 양식하던 물 맑은 작은 저수지 2곳이 있어
여름철이면 피서 인파가 몰린다.
주변에는 동이학교(서당), 세제계곡 등이 있으며
백제가요 <정읍사>에서 남편을 기다리다 망부석이 된 여인이 살았다는 곳이 있다.
1957년 착공하여 1965년 완공되었다.
총저수량 244만 7,000t, 유역면적 1,290ha, 만수면적 37.4ha, 수혜면적 390.3ha이다.
댐 길이는 547m, 높이는 16.6m에 이른다.
[네이버 지식백과] 용산저수지 [龍山貯水池] (두산백과)
전라북도 정읍시 용산동에 있는 저수지로
1957년 착공하여 1965년 완공되었다.
정읍시의 신정동 까치봉 서쪽 자락에서 발원하여 북류하면서 남성리를 지나 용산저수지를 만들고,
용산동의 주산 마을 앞에서 북쪽으로 흘러 진산동을 지나다가,
과교동을 통과하여 삼산동의 용산천교 앞에서 천원천에 유입되는 하천이다.
하천이 지나는 동리 명칭에서 유래한 지명으로 보인다.
용산리(龍山里)는 1914년 정읍군 남일면의 와룡리, 신정리, 석산리 등을 합쳐 용산리라고 하였으며,
정읍군 내장면에 속하게 했던 지역이다.
와룡과 석산의 각 이름자를 따 합친 지명이다.
[정읍시사](2003)에 의하면 용산천은 옛날 목제천(木梯川)으로 불렸다고 하는데,
[신증동국여지승]에 "목제천과 치천(鴟川)은 두 내가 모두 내장산에서 나와
현의 서쪽 10리에 이르러 북천에 합친다."라고 하는 관련 기록이 등장한다.
석산지라고도 한다.
주변에 입암산성이 있고, 내장산 망해봉이 보이는 풍광이 뛰어난 대규모 저수지다.
물이 맑고 깨끗하며 참붕어, 잉어, 동재개, 메기, 향어 등 어자원이 풍부하여 민물 낚시꾼들이 많이 찾는다.
저수지 상류 쪽으로 올라가면 물 맑은 작은 저수지 2곳이 있어 여름철이면 피서 인파가 몰린다.
주변에는 동이학교와 세제계곡 등이 있으며
백제가요 정읍사에서 남편을 기다리다 망부석이 된 여인이 살았다는 곳이 있다.
[대한민국 구석구석]
조월마을,
한산한 길에 몇 번 물어물어 왔다.
추사 김정희 책을 읽다가 알게 된 지명이라서
궁금하던 차에 왔다.
서울로 가던 추사와 내장산에 주석하던 백파 선사가
조월마을 중장터에서 만나기로 했다는데
그 장터가 어디인지 묻지 않았다.
그저 조용히 관조하다가 마을에서 벗어났다.
http://blog.daum.net/jesibam/878
조월마을에서 바라본 내장산 줄기의 삼신산과 입암산
내 운전하는 차에 사람들은 다 자고 있다.
군말없이 내 핸들에 심신을 맡겨준 사람들한테 미안하기도 고맙기도 하다.
'여행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용인시 조광조 묘(2020.5.19 화) (0) | 2020.06.13 |
---|---|
경기도 용인시 포은 정몽주 묘,저헌 이석형 묘(2020.5.19 화) (0) | 2020.06.13 |
전북 정읍시 전주이씨세적비,차단마을 편백림(2020.4.18 토) (0) | 2020.04.20 |
경기도 의정부시 경명군 묘( 2020.3.30 월) (0) | 2020.03.30 |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 월정사,상원사(2020.2.8 토) (0) | 2020.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