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모현읍에 있는 정몽주 선생 묘역을 떠나
서쪽으로 10 킬로미터 쯤 가서 수원이 가까운 용인에 조광조 묘역에 왔다.
심곡서원 맞은편 응봉산[236m] 산자락의 남동쪽에 있다.
심곡서원은 여기서 1km도 되지 않는 곳에 있지만 나는 방문하지 못했다.
성리학자로 향촌에 있다가 늦은 나이에 출사하고
그 누구보다도 큰 힘이 생겨서 개혁을 하다가 좌절하였던 이다.
조광조 묘역 배치도
조모가 온양 정씨이다.
지금은 훤해보여도 이런 묘역도 육이오 전쟁 끝나고 어느 뜻있는 후손에 의해
손길이 보태지고 모습이 갖춰지기 시작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전라도 능주에서 사약을 받아 놓고 지은 시
愛君如愛父
憂國如憂家
百日臨下土
昭昭照丹衷
여기서 임금 군君은 중종이리라.
이런 경지는 어떻게 형성되는 것일까?
인터넷 여기저기 뒤지다 보니,
능주에서 절명한 정암을 수습한 이는 학포 양팽손(1488~1545)라고 한다.
앵팽손의 조카이자 조광조의 제자인 양산보가 전남 담양 소쇄원을 지었는데
소쇄원의 이상적인 모습은 좌절에서 비롯되었나보다.
분묘 위치도
문정공 정암 조 선 ~
~생 신도비명
전자(篆字)로 “문정공정암조선생신도비명(文貞公靜庵趙先生神道碑銘)”
비석 머리글씨가 앞뒤로 잘려 있다.
내가 보기엔 좀 이상하긴 하지만...
조선 중기 사대부 묘제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한다.
글씨 마모가 심하여 자세히 보지는 못하였지만 인터넷에 보니
1585년(선조 18)에 건립되었다고 한다.
정경부인(貞敬夫人)으로 추증된 이씨(李氏)와의 합장묘이다.
비좌와 월두형의 비신으로 된 묘표(墓表)는 봉분 중앙에 새워져 있는데 어느 곳에는 중앙을 비켜 있는데
어느게 합당한지 잘 모르겠다.
이산해(李山海) 글씨.
'여행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용인시 송담고택(2020.5.19 화) (0) | 2020.06.13 |
---|---|
경기도 용인시 처인성(2020.5.19 화) (0) | 2020.06.13 |
경기도 용인시 포은 정몽주 묘,저헌 이석형 묘(2020.5.19 화) (0) | 2020.06.13 |
전북 정읍시 석산지저수,조월마을(2020.4.18 토) (0) | 2020.04.20 |
전북 정읍시 전주이씨세적비,차단마을 편백림(2020.4.18 토) (0) | 2020.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