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적 담론

북한현대사(2014-10-05 일)

무논골 2014. 10. 5. 22:30

2014.8.29(금)

나는 뭉태기로 책을 인터넷으로 주문하였다.

아이들을 위한 책은 아낌없이 사주면서

나를 위한 책은 최근에 주저주저했던 것이었다.

 

거의 한 달 넘게 찔끔찔끔 읽었던 책인데 참 좋은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커밍스 교수의 책을 대학시절에 읽고나서

최근에 내 머리 속 북한에 대한 정보를 갱신할 필요를 느끼던 차에 이 책을 읽었다.

 

지은이나 번역자 모두 이 분야의 존경받는 분이란 생각이 든다.

 

지은이 와다 하루기

 

옮긴이 남기정

 

외국인의 시각으로 남북한의 문제를 바라볼 수 있어 아쉽기도 하지만

어쩔 수 없이 다행이라는 생각이 든다.

 

북한 헌법을 만들 무렵의 상황을 묘사한 글

 

한국 전쟁이 마감하면서의 결과를 기술한 대목

 

제1장 김일성과 만주항일무장투쟁(1932~5)

1912.4.15 평양 교외 대동군 남리에서 김일성 출생,본명은 김성주,아버지 김형직은 소작농의 아들로서 기독교 신자였으며, 어머니 강반석은 기독교 장로의 딸.기독교적인 문화 속에서 소년 시절을 보냄

1927년 김일성은 동만주의 대도시 지린으로 나와 유원중학에 입학,중국공산당의 세계에서 활동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되는 시기임

1932년 봄,안투에서 조선인 무장대를 조직하였으며,북한은 그 발족일을 4.25로 하여 조선인민군 창설기념일로 축하하고 있음

1938.6.4 보천보 공격,보천보는 308호의 주민과 경관 5인이 상주하는 작은 마을.김일성부대는 추격부대와

교전하면서 무사히 철수,그의 이름은 전국적으로 알려져 조선인의 반일 기운을 크게 높였다.

1938년부터 일본은 매우 조직적으로 유격대를 진압.고난의 행군.

1942년,김일성의 처 김정숙은 보로실로프 근처 야영에서 남자아이 낳았다.김정일

김정일은 항일유격대원인 부모에게서 태어나 항일 투쟁과 복수의 노래를 자장가 삼아 들으며 유격대 캠프에서 성장했던 것이다.

1945년 9월 5일 김일성은 하바롭스끄를 출발 60명이 부하와 함께 귀국.김일성은 매우 젊었으며 무척 여윈 사람이었다고 정상진 회고.

 

제2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탄생(1945~48)

10.14 평양시민대회에서 김일성 처음 등장

토지개혁

노동법령과 남녀평등권법

산업국유화령

1946.8.15 축일을 앞두고 김일성 개인숭배 분위기 고조

단독선거와 분단국가 탄생,남한 8.15,북한 9.9

 

제3장 한국전쟁(1948~53)

김일성은 이후로도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 자리를 유지하기는 했지만 전쟁의 작전지도에서는 완전히 배제되었다.

이는 김일성에게 굴욕적인 일이었다.

정전 협정;미국 쪽에서는 이승만 대통령의 의견은 참고하지도 않았으며,그를 설득하지도 않았다.

군사 지휘권을 빼앗긴 김일성은 국내체제 정비에 힘을 쏟았다.

7월에는 평양공습이 하루에 1254회에 달했다.평양방송은 사망자가 7000명이라고 보도했다.

사람들은 비29의 공습이 끝났다는 것을 진정으로 기뻐했다.

 

제4장 부흥과 사화주의화(1953~61)

전쟁 후,북한의 전국토는 1945년 8월의 일본보다 더 심각하게 파괴되어 있었다.

소련과 동유럽 국가들은 사회주의진영의 명예를 위해 기꺼이 원조에 나섰다.

1958년 중국군의 전면 철수

1960년 김일성은 조용히 주체선언에 나섰다.

북한이 소련 및 중국과 같은 조약을 동시에 체결하여 안전을 확보할 수 있었던 것은 김일성의 중소 등거리외교,자주외교의 성과였다.

 

제5장 유격대국가의 성립(19*61~72)

북한은 진지했다.1968년 1월 21일 유격대를 남파해 청화대로 진격시켰다.

게릴라의 남파에 반발하던 일본 공산당과 이때 완전히 결별하게 되었다.

한국의 박정희 대통령은 내부체제 강화를 위해 10월 17일 쿠테타적 방법으로 대통령 직선제를 폐지하고 유신체제를 수립했다.

1972년 12월 최고인민회의는 헌법개정안을 채택하고 유격대국가에 제도적인 형식을 부여하였다.

 

제6장 극장국가의 명과 암(1972~82)

한국의 민주화운동은 북한과 관계없이 시작되어,관계없이 진행되고 있었다.북한은 이 운동에 영향력을 행사하고자 했으며...

1980년 10월 10일~14일 조선로동당 제6회 대회,김정일 정식 데뷔

 

제7장 위기와 고립 속에서(1983~94)

소련이 남한과 외교관계를 맺는다면 북소동맹조약은 저절로 유명무실해질 것이다.그렇게 되면 우리는 지금까지 동맹관계에 의거했던

약간의 무기도 스스로 조달하기 위한 대책을 세우지 않으면 안 되게 될 것이다.<북한이 소련에 건넨 각서>

1991년 8월 소련의 붕괴,북한은 결정적 타격을 받았다.

1989년 북한 경제는 최고수준에 도달했던 것으로 보인다.

북한경제의 붕괴,태평양전쟁 말기에 고립된 일본과 비슷한 상태가 되었다.

1992년 8월 24일 한중수교

1994년 전쟁 위기

1994년 7월 8일 김일성은 심장발작으로 사망,82세

 

제8장 김정일의 선군정치(1994~99)

1995년 10월 8일 김정일은 장군들을 승진시켰다.

 

제9장 격변 속의 북한(2000~12)

2000년 6월 13일 김대중 대통령을 태운 비행기가 평양에 도착,김정일 국방위원장은 트랩 바로 아래까지 와서 영접

북한의 핵무장 의도 : 핵의 완전 포기는 패전국에게 강요하는 것이다.우리는 미국의 패전국이 아니다.....미국이 핵무기를 가지고 때린다면

그냥 맨손으로 가만히 있다가는 결국 이라크처럼 되어버리고 만다.

2008년 9월 9일 건국 60주년 퍼레이드에 김정일 나타나지 않음,66세의 김정일이 8월말에 뇌졸증으로 쓰러짐,

2009년 11월 30일 북한 정부는 디노미네이션을 실시 및 실폐

2011년 12월 17일,김정일은 심근경색으로 사망,69세

 

보론 김정은 시대의 북한

김정일 사망 이후 4개월 동안은 김정은 최고사령관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거당적 집단체제가 북한을 이끌었다.

리영호의 숙청

장성택의 숙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