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이야기

서울대병원 내 경모궁지 (2016-06-18 토)

무논골 2016. 6. 18. 17:26

장례식장을 들렀다가 우연히 목격한 공사 현장이 시선을 끌어서 다가가 보았다.



 함춘문


 

 

 

 


포털사이트 다음에서 검색한 경모궁에 대한 기사입니다.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경모궁(景慕宮)은


조선 장조의 사당이 있던 곳으로, 지금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부근 일대에 있던 함춘원의 옛터이다. 지금은 함춘문(含春門)과 석단(石壇)이 남아 있다.


함춘원이라 불리는 후원은 창경궁(昌慶宮) 동쪽, 창경궁 요금문(曜金門) 서쪽, 경희궁(慶熙宮) 개양문(開陽門) 남쪽 등에 있었다고 《동국여지비고(東國輿地備攷)》에 기록하고 있지만, 이 가운데 지금까지 그 유지가 남아 있고, 입지나 규모로 보아 가장 대표적인 것이 창경궁 동쪽에 있는 것이다.


함춘원은 성종 15년(1484년) 창경궁을 창건하면서 풍수지리설에 의해 궁궐 동편의 지세를 보강하기 위하여 이곳에 나무를 심고 담을 둘러 잡인의 출입을 금하였던 것에서 시작되었다. 그리하여 성종 24년(1493) 2월에 함춘원이란 이름이 정식으로 붙여져 창경궁 부속 후원(後苑)이 되었다.


연산군 때에는 함춘원 담장 밖 높은 지역의 민가를 철거하여 구역을 확장하고, 기묘한 화초를 심어 더욱 심원하고 엄숙하게 하였다. 담 밖에는 별정군(別定軍)을 배치하여 일반인의 통행을 금하고, 대문과 함께 함춘원 북쪽에 성을 쌓기도 하였다. 그 후 중종은 철거당한 사람들을 다시 돌아와 살게 하였다.


 임진왜란 때에는 당시 덕빈(德嬪)의 시신(屍身)이 임시로 매장되기도 하는 등 점차 함춘원의 관리가 소홀해졌으며, 인조 때에는 함춘원의 절반을 태복시(太僕寺)에 나눠주면서 이후 140여년간 방마장(放馬場)으로 사용되었다.


영조 40년(1764)에 북부 순화방(順化坊)에 있던 사도세자(思悼世子)의 사당인 수은묘(垂恩廟)를 이곳에 옮겨 지었고, 영조 52년(1776년)에 정조가 즉위하자 수은묘를 경모궁으로 고쳐 불렀다. 이때 정조가 친히 편액(扁額)을 써 달았으며, 서쪽에 일첨(日瞻)·월근(月覲)의 두 문을 내어 창경궁 쪽의 문과 서로 통할 수 있게 하였다.


정조 9년(1785년) 8월에 경모궁과 사도세자의 원묘(園墓)에 대한 의식절차를 적은 〈궁원의(宮園儀)〉를 완성하는 등 이 일대를 정비하였다. 헌종 5년(1839년) 12월에 봉안각(奉安閣)이 소실되었으나 곧 중건되었다.

광무 3년(1899) 8월에 사도세자를 장종(莊宗)으로 존호를 올리면서 경모궁에 있던 장종의 신위를 종묘(宗廟)로 옮기게 되자 경모궁은 그 기능을 잃게 되었다. 이로 인해 경모궁 내에 있던 망묘루(望廟樓)는 북부 순화방에 있던 장종의 생모 영빈(暎嬪) 이씨의 사당인 선희궁(宣禧宮) 경내로 옮기고 이름을 평락정(平樂亭)이라 하고, 망묘루에 있던 정조·순조·익종·헌종·철종의 어진(御眞)을 옮겨 봉안하였다. 또한 경모궁의 이름도 경모전(景慕殿)으로 고쳤다.


광무 4년(1900년)에는 경모궁 터에 태조·세조·성종·숙종·영조·순조의 6성조 어진을 봉안하던 곳인 영희전(永禧殿)을 옮겨 세웠다.


그 뒤 일제강점 후 함춘원 옛 터, 즉 경모궁 일대에 경성제국대학이 세워지면서 원래의 모습을 대부분 잃어버렸고, 더욱이 한국전쟁으로 옛 건물이 불타 원 모습을 알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함춘문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집이며, 앞면과 뒷면의 기둥은 두리기둥이고 가운데 기둥은 네모기둥으로 여기에 각각 문을 달고 창방 위에는 안상을 끼우고 홍살을 달았다. 공포는 초익공(初翼工)으로 매우 간결하며 겹처마이다. 조선후기의 세련된 건물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석단의 길이는 약 30m, 폭은 약 18m가 되는데 전면 4곳에 돌계단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