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적 담론

중국*란 무엇인가(최*애 교수님,2016.11.13 일)

무논골 2016. 11. 6. 13:40

최근 김용* 선생의 노자에 빠져있던 양선배가 어쩌다 이 책을 샀다.

본인은 전공자가 아니라서 읽기 힘들다고 하였다.

이 책은 김용* 선생의 사모님 되시면서 이 분야 권위자이신 최영* 교수님이 지은 책이다.

내가 학교 다닐 때는 없던 책이었는데 일견하니 참 좋은 참고서이다.

막걸리 한 되 받아줄테니 내가 먼저 읽자고 하고 어제 오늘 서둘러 읽었다.

내일 출근하여 돌려드려야겠다.


오랫만에 집중하여 독서하고 정리하는 기쁨을 만끽했다.

저자의 저작권 훼손되지 않을 정도로 필기해본다.

돌려줄 책이라 밑줄을 그을 수는 없었고.... 

==============================================================================


 


中國語는 일본어 츄우고쿠고에서 온 것이다.중국인들은 중국어 보다는 中國話라고 불러왔으며 지금은 한어라고 통일하여 부른다.


官話는 명대이후에 생긴 명칭으로 청대말까지 중국의 중앙정부의 표준어 역할을 했다.


대만에서는 표준어를 國語라고 부르지만 중국에서는 50년대 이후에 제정된 普通話라는 명칭을 표준어의 공식명칭으로 정하였다.


論語는 춘추시대 공자님의 어록인데 직접대화체로 되어 있으니 당대의 구어체로 보아야 할 것이다.


당나라에 오면 白話라는 게 생기는데 문언이 구어에서 상당히 멀어져서 일반대중들이 배어 익히기 어렵게 되고……..소설이라는 장르에서 구어체를 그대로 옮긴 말 백화를 쓰기 시작


명말중엽 4편 장편소설 : 삼국연의,수호전,서유기,금병매가 모두 백화로 씌어있는 소설.


홍루몽도 백화. 1919 54백화운동으로 이어진다.


 


관화는 구어이고,백화는 문어이다(30페이지 …………………> ?


 


중국어 특징


  1. 단음절어 : 시경에서 단음절어가 아닌 예외,연면자라 불리는 두음절 낱말이 보임

  2. 성조언어

  3. 고립어

  4. 주어s,동사v,목적어o 어순이 svo로 되어 있다.

  5. 수식어_피수식

  6. 명사를 세는 양사(measure word)가 있다.동사를 세는 단위도 소수 있다.

  7. 두음절자금 즉 성모가 단자음.복자음 성모는 한대이후 소실되어


 


13억이 넘는 인구의 94% 한족,6% 55개 소수민족으로 구성,55족 중에서 회족은 종족 구분이 아니고 회교도라는 종교적 집단으로 중국의 북쪽 寧夏回族自治區에 거주하고 고유어가 없고 한어를 사용,만주족은 만주어가 사어가 되어 한어를 모어로 사용한다.


 


중국어와 이 수많은 이웃언어들과의 관계는 동족어관계인 것도 있고 영향을 주고받은 것도 있고,서로 차용한 것도 있다.


중세 한국어와 현재 경상도방언에는 성조가 있다고 보고…..중세국어에도 복자금성모가 나나탄다.


한국어와 일본어에서 현재 양사가 나타나는 것은 중국어의 영향에서 온 것으로


중국어는 티베트어계언어와 발생학적으로 가장 가깝다는 것이 정설인데 어순이 sov인 티베트어와 달리 중국어는 svo인 것은 좀처럼 납득되지않는다.


 


중국어와 이웃언어들과의 교류


  1. 서역국 폐르샤의 고대이란어 : 葡萄(pu2tao2,포도),(shi1,사자)

  2. 산스크리트 : 茉莉(mo4li4,말리,재스민),旃檀(기전,박달나무단,단향목),,涅槃,,刹那

  3. 남방방언 :    (:)

  4. 남아어 :

  5. 알타이어(몽고,만주) :

  6. 타이어 또는 남아어 : ,

  7. 남방기원 : (양자강)       :黃河,遼河,淮河,(란하), :長江,湘江,珠江,錢唐江,閩江

  8. 몽고어 : 胡同(골목길),()

  9. 만주어 : 薩其馬(sa4qi2ma3,동북지방 과자,강정)

  10. 일본오 : 文化,文明,社會,科學,化學,經濟,政治,手續,場所,哲學


 


중국어 방언의 역사 : 시경은 북방방언,초사는 남방방언,외교언어는 주왕실의 말


논어 술이편 子所雅言,詩書執禮,皆雅言也.(공자는 평소 노나라 말을 했지만 주왕실의 말인 아언


할 수 있었으니,시서집례에는 다 아언으로 하셨다).주자는 아언을 常言(늘상하는 말)으로 이해함


 


서진말에 난을 피해 낙양에서 양자강 이남으로 이주한 진의 귀족들에 의하여 남경(당시에는 建康)을 도읍으로 하여 동진이 섰고,뒤이어 남조엔 宋齊梁陳의 네 왕조가 번갈아 이 남경(金陵이라 칭함)을 도읍하였고,북조엔 북위,북제,북주 등의 나라가 섰다.


 


표준어 : 아언,통어,아음,정음,관화


만다린 : 滿大人


 


표준어 형성과정 : 북경은 요,금의 도읍이었지만 중국전체의 통일왕조는 아니었으니 (1271~1368)이후 정치경제문화의 중심을 확보했다고 볼 수 있다.大都(원나라 때 북경 명칭)의 토박이말이 갑자기 표준어가 된 것인가? 도읍지의 변동에 따라 지배계층의 이동이 뒤따르기 마련이니 이들의 이동이 표준어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북경어의 역사를 거슬리면 동한까지 올라간다.


 


쌍성雙聲은 성모,첩운은 운모에 대한 감각에 의해 조립된 이음절낱말이다.시경에 보인다.


두음절낱말에서 두 음절의 성모가 서로 같은 것을 쌍성이라고 하고, 두 음절의 운부 즉 주요모음과 운미가 서로 같을 때는 첩운이라고 한다.두음절낱말이지만 하나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연면자(連綿字)의 대부분이 두 음절 사이의 관계가 쌍성첩운첩자로 되어 있다.이 쌍성첩운연면자의 운용은 중국어에 음률감과 리듬감을 더해주기 때문에 시경 등 고대시가에 흔히 나타난다.


 


한어병음자모 성모표


 

운모표 



  북경어는 타방언에 비해서 이중모음이 많다(ai,ei,a o,ou)



 성조도

 

성조 : 중국에서 출간되는 모든 현대중국어 교재는 소위 五度制表調法으로 성조를 나타낸다.1930趙元任이 시작한 것이다.





경성輕聲 : 약강세음절로 음절의 길이가 짧으며,이 짧은 경성의 높낮이는 앞에 오는 음절에 의해    결정된다(趙元任,1948)


1성뒤 반저,2성뒤 중,3성뒤 반고,4성뒤 저


본래부터 경성인 것(허사) : ,,,,,,,,,,,


경성은 북경어의 특징이다.타방언지역 사람들이 북경어 배울 때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이다.


  1. 조사

  2. 접미사

  3. 방위사 :

  4. 방향동사 : 出來 起來 進去

  5. 형용사,수사,양사를 제외한 첩음사의 제2음절 : 走走 看看 姐姐 妹妹

  6. 동사의 목적어로 쓰인 대명사 : 打他 請他


 


강세 : 강세가 경성과 관련이 있고 경성여부가 의미의 변화를 초래하기도 한다.


 끝음절 강,첫음절 보통,가운데음절 약  (,끝음절이 경성이 되면 이 원칙이 배제)


 두음절 :      보통2-1,


 삼음절 : 보통2-3  -1


사음절 : 보통2-3-보통2-1


 


兒和韻   p106


 성모와 무관한 운모의 현상이다.거의 모든 북경어의 운모는 兒化될 수 있지만 兒化 여부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기도 한다.


 


북경어 22개의 성모와 36개의 운모가 전혀 제한없이 배합이 가능하다면 800개 정도의 음절이 생기나 실제로는 400여 개의 음절 밖에 없다.              P111



한자의 수량


 




 


동사와 형용사는 다음과 같은 공통점이 있다.  p208


  1. 동사와 형용사는 모두 문장에서 술어로 쓰이며,

  2. 앞에 오는 부사적 수식어(剛走,hen3)와 뒤에 오는 보어(洗乾淨,好極了)의 수식을 받는다.

  3. 부정사 不의 수식을 받고(不休息,不淸楚)

  4. 조사 료가 뒤에 올 수 있다(看了,快了)


동사와 형용사의 차이는


  1. 동사는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 hen의 수식을 받지 못한다.

  2. 동사는 목적어를 가질 수 있으나 형용사는 목적어를 가질 수 없다.

  3. 형용사는 직접 명사를 수식할 수 있으나 동사는 직접 명사를 수식할 수 없다.

  4. 동사중에도 hen의 수식을 받을 수 있는 소위 심리동사가 소수 있우나 이들은 목적어를 가질 수 있다는 면서에서 형용사와는 구분된다.

    (,,pa4,,喜歡,相信,討厭,同情,贊成,關心,懷疑,羨慕,害怖,注重,講究)


동사와 형용사의 중첩


  1. 단음절동사의 중첩은 제2음절이 경성이 되고(看看.走走)

  2. 단음절형용사의 중첩은 제2음절이 일반적으로 兒化되어 성조가 음평이 된다(31,31).아화는 북방방언의 특징이므로 남방방언이나 문언에서는 아화되지 않는 경우 원래성조를 그대로 가지고 있다(33,33)

  3. 이음절동사의 중첩은 낱말별로 중첩되고 중첩된 뒷낱말은 경성이 된다(休息休息,討論討論)

  4. 이음절형용사는 음절별로 중첩이 되어 둘째음절이 경성이 되며 끝음절에 강세가 온다(淸淸楚楚,乾乾淨淨)

  5. 동사중첩형은 ~~하다””한번~하다라는 뜻이 첨가되어 동작의 시간이 짧음을 나타내거나 동작의 횟수가 적음을 나타내지만

  6. 형용사중첩형은 그 성질이 강조되며 사물의 상태를 나타낸다

  7. 동사중첩형은 중첩이전의 동사와 마찬가지로 목적어를 가질 수 있고,부정사 不의 수식을 받을 수 있다.

  8. 형용사중첩형은 중첩이전의 형용사와는 달리 不의 수식도 받을 수 없고 정도를 나타내는 hen3,非常,,,挺의 수식을 받을 수도 없다.


의문대사는 영어처럼 문두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고 명사의 위치에 놓이므로,묻는 사항에 따라 위치가 바뀐다(誰請喫飯? 請誰喫飯?)


 


부사


 



동사有의 부정형은 沒有이므로 선택의문문은 有沒有錢?이 된다.


부사沒有는 술어(동사 혹은 형용사)+의 부정이므로 긍정부정형의 선택의문문은


有沒有去?가 아니고


去了沒有가 된다.선택의문문은 부사의 긍정부정형이 아니고 중심술어의 긍정부정형이 되어야하기 때문이다.그러나 광동방언이나 민남방언 등 일부방언지역에서는 긍정형은 有去라고 하며,


有沒有去?로 선택의문문으로 사용하므로 어법기능상 동사와 부사의 경계가 모호해진다.


沒有는 생략형인 沒로 대체할 수 있는데(我沒錢,我的病沒好),沒有가 문미에 올 때는 沒로 대체할 수 없다. 沒有→沒(x), 去了沒有→去了沒?(x)


 


把字文(처치문) 성립의 제한


  1. 동사가 동작을 나타내는 타동사로서 목적어를 지배할 수 있는 동사여야 한다.

  2. 목적어는 화자와 청자가 아는 확정적인 것이어야 한다.

  3. 부정사 ,沒有나 조동사 應該,可以 등은 반드시 앞에 위치한다.

    (應該把這個習慣改一改.沒把拿走)

  4. 파자문은 댕그라니 동사 한 개와만 쓸 수 없고,반드시 보어라든지 접미사라든지 목적어라든지 다른 요소가 붙어야하며,그렇지 못랄 경우에는 동사를 중첩해서라도 맨동사는 피한다.

    (孩子把飯喫完了.把衣服洗洗.把這件事告訴他)


 


연사連詞     p223

 

감탄사  p230

 

주어와 술어의 관계를 자오 위앤르언(1968)은 화제(topic)_설명(comment)으로 이해하였다.

 동사술어문에서 주어 즉 화제는

  1. 동작의 행위자일수도 있고 我去

  2. 동작의 대상일수도 있고 報紙看完了

  3. 행위자도 아니고 대상도 아닐 수도 있다 我是老師.前邊來了一個人.

  

동사술어문 특징

  1. 是字文 :

  2. 有字文 : 존재를 나타내는 는 장소명사,시간명사가 주어가 된다.

  3. 連動文 : 술어가 중간에 쉼이 없는 두 개 이상의 구로 구성되어 하나의 주어를 공유

            선후발생관계,뒷동사가 앞 동사의 목적이거나 앞동사가 뒷동사의 수단방식이거나,

            같은의미를 앞동사는 긍정으로 뒷동사는 부정으로 나타내거나 앞동사가 인 경우

  4. 겸어문 : 한 문장 속에 있는 두개의 동사 사이에서 첫번째 동사의 목적어이자 두 번째

           동사의 주어를 겸한 명사()를 가진 문장을 가리키며,이 명사()를 겸어라고 함

  5. 존현문 :

  6. 被字文 :

  7. 把字文 :

  8. ~~ :   

    중국어란 무엇인가20161105.docx


중국어란 무엇인가20161105.docx
0.03MB

'서적 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하일기(2016-11-22 화)  (0) 2016.11.22
홍경아 중국어(2016년 11월)  (0) 2016.11.22
덕헤옹주(2016-08-06 화)  (0) 2016.08.09
625전쟁 1129일 요약본(2016-06-09 목)  (0) 2016.06.21
"고3공부법"(2016-06-12 일)  (0) 2016.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