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은 어떤 곳인가?
양양은 호북성에 있는 지급시이며,초문화,한문화,삼국지문화의 주요 발원지로서 2800여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역대로 경제적으로나 군사적으로나 중요한 곳이었다.애초부터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중국 제일의 성지이다.철로 만든 양양이다.군사적으로 반드시 다퉈야하는 땅이다....
襄阳,湖北省地级市,国家历史文化名城,楚文化、汉文化、三国文化的主要发源地,已有2800多年建制历史,历代为经济军事要地。素有“华夏第一城池”、“铁打的襄阳”、“兵家必争之地”之称。
襄阳位于湖北省西北部,汉江中游平原腹地。襄阳因地处襄水之阳而得名,汉水穿城而过,分出南北两岸的襄阳、樊城隔江相望。
两城历史上都是军事与商业重镇。1949年两城合并后称襄樊市;1983年襄阳地区并入地级襄樊市;2010年12月襄樊市更名为襄阳市。
现辖3个区(襄州、襄城、樊城)、3个县级市(枣阳、宜城、老河口)、3个县(南漳、保康、谷城)和3个开发区(襄阳高新技术产业开发区、襄阳经济技术开发区、襄阳鱼梁洲经济开发区),总面积1.97万平方公里,2016年全市实现地区生产总值3694.5亿元,居湖北第三。
襄阳名胜古迹旅游以三国文化为主要特色,有隆中风景名胜区、襄阳城等著名景点,刘备“三顾茅庐”“《隆中对》”等故事就发生在这里。
襄阳是湖北省域副中心城市和鄂西生态文化旅游圈中心城市。
2013年襄阳入围首批国家智慧城市。2014年襄阳入围“信息惠民”国家试点城市。
나관중의 삼국연의에서는 제갈공명이 은거하던 융중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묘사하고 있다.
山不高而秀雅 산은 높지 않으나 수려하고
水不深而澄清 물은 깊지 않으나 말고
地不广而平坦 땅은 넓지 않으나 평평하고
林不大而茂盛 숲은 크지 않으나 무성하고
鹤相亲 학은 서로 친하고
松篁交翠 소나무와 대숲은 서로 푸르도다.
양양시내에서 서쪽으로 15km 떨어진 곳까지 택시를 탔다.25원
제갈공명은 원래 산동 낭야인인데 어려서 부모를 잃고 작은 아버지를 따라 형주로 갔으며,
17세에 작은 아버지도 돌아가시자 이곳 양양의 융중으로 와서 10년을 보낸다.
유비의 삼고초려에 의해 천하영웅형세를 분석하고 계책을 내놓는다.
隆中十景:草庐亭、躬耕田、三顾堂、小虹桥、六角井、武侯祠、半月溪、老龙洞、梁父岩、抱膝石,
패방이 마중하고 있다.
청나라 광서19년(1893년) 호북제독 정문병(程文炳)이 세웠다.
높이 6m,길이 10m,네 기둥.
사진 반대편이 "고융중"이라는 큰 글씨가 있고
다음과 같은 문주가 있다.급한 마음에 사진이 뒤죽박죽이다.
三顾频繁天下计
两朝开济老臣心
두보가 성도의 무후사를 방문하고 지은 "촉상"이라는 시에서 따왔으며 글씨는 청나라 陈维周가 썼다.
(사진에 보이는)
在牌坊背面的字碑上刻着“三代下一人”,作者陈维周此匾所题镇雄为地名,当属云南所辖,后学是歉词,意即后辈学生。匾额高度称颂诸葛亮是夏、商、周以后的第一人杰。门柱上雕刻“伯仲之间见伊吕;指挥若定失萧曹。”作者陈维周,此联选自杜甫于唐代宗大历元年(公元766年)初夏到菱洲(今四川奉节)期间写的《咏怀古迹五首》之五中的诗句。对联在此称颂 诸葛亮的文韬武略与 伊尹(商汤佐臣)、吕尚(周代齐国始祖,俗称姜太公)不相上下,指挥调度从容镇定连萧何(西汉第一任臣相)、曹参(西汉大臣,曾任齐相9年,后继萧何为汉惠帝臣相)与 之相比都显得逊色。“古隆中” 牌坊次间上、下枋雕双凤朝日、鹿鹤同寿、麒麟送子、赤虎朋寿等浮雕,中间字碑雕刻“澹泊明志;宁静致远。”此联出自诸葛亮《诫子书》,意为恬静寡欲,志向才能明确;安宁清静,目标方可远大,苦学积才,明志致远,这一格言至今还让我们领悟。当年正气扶元气;万世人心仰赤心。
삼고당,1720년(청나라 강희 59년) 건립
제갈량과 세 위인의 조상이 모셔져 있다.
강택민 주석의 글씨로 "古隆中诸葛亮故居"
송황교취~~소나무와 대숲이 푸르다.
게다가 호수가 있어 더욱 푸르다.
초려草廬
융중서원隆中書院,1880년대 지어졌다.
저 계단으로 올라가보지는 못했다.
노룡동老龍洞
노룡동
오래된 샘,제갈량 시절에도 이 물을 마시고 농사에 이용하였다.
노룡동 옆 회랑
노룡동 옆에 공연할 수 있는 시설
공명시대의 농가를 재현한 곳
공명이 몸소 밭갈이를 했다는 곳
등룡각 腾龙阁
한달음에 올라가볼만한 높지 않은 산 위에 있는 누각인데...
한국에 돌아와 인터넷을 보니 정말로 저 위에서 보는 풍광이 좋았을거같다.
10층으로서 각 층마다 서로 다른 풍광을 자랑하며,제갈량과 삼국지 이야기를 묘사하고 있다.
융중풍경구 입장료 180원
다시 상양역으로 택시로 이동 32원
<인터넷에서 퍼온 자료,
출처: http://hidemylife.tistory.com/58
전출사표(前出師表)
此誠危急存亡之秋也. 然侍衛之臣, 不懈於內, 忠志之士, 忘身於外者,
蓋追先帝之殊遇, 欲報之於陛下也. 誠宜開張聖聽, 以光先帝遺德,
恢弘志士之氣, 不宜妄自菲薄, 引喩失義, 以塞忠諫之路也.
뜻있는 선비들의 의기를 더욱 넓히고 키우셔야 하며, 결코 스스로 덕이 엷고 재주가 없다 단정 내리셔도 아니 되며, 옳지 않은 비유로 의를 잃으셔서, 충성된 간언이 들어오는 길을 막으셔서도 아니 됩니다
宮中府中, 俱爲一體, 陟罰臧否, 不宜異同. 若有作奸犯科及爲忠善者,
궁중과 관원이 모두 일체가 되어야 하니 선과 악을 척벌함을 달리해서는 안될 것이요, 간사한 짓을 하여 죄과를 범하는 자 및 성실하고 선량한 일을 한 자가 있으면
宜付有司, 論其刑賞, 以昭陛下平明之理, 不宜偏私, 使內外異法也.
侍中侍郞, 郭攸之.費褘.董允等, 此皆良實, 志慮忠純, 是以先帝簡拔,
시중과 시랑인 곽유지·비위·동윤 등은 모두가 선량하고 진실하여 뜻과 사려가 참되고 순수합니다. 그러므로 선제께서 뽑으시어,
以遺陛下. 愚以爲宮中之事, 事無大小, 悉以咨之, 然後施行,
必能裨補闕漏, 有所廣益. 將軍向寵, 性行淑均, 曉暢軍事, 試用於昔日,
반드시 폐하의 부족한 점을 보충하여 넓히고 유익하게 하는 바가 있을 것이요, 장군 상총은 성품과 행위가 착하고 공평하여 군사를 잘 아는지라 예전에 시험 삼아 등용함에
先帝稱之曰..能. 是以衆議擧寵爲督. 愚以爲, 營中之事, 事無大小,
悉以咨之, 必能使行陣和睦, 優劣得所也. 親賢臣遠小人,
此先漢所以興隆也, 親小人遠賢臣, 此後漢所以傾頹也. 先帝在時,
每與臣論此事, 未嘗不嘆息痛恨於桓靈也.
시중·상서·장사·참군은 모두 곧고 어질며 죽음으로 절개를 지킬 신하들이오니, 요청하건대 폐하께서는 이들을 가까이 하시고 이들을 믿어 주시면 곧 촉한(則漢)의 황실이 다시 번창 할 날을 헤며 기다릴 수 있을 것입니다.
臣本布衣, 躬耕南陽, 苟全性命於難世, 不求聞達於諸侯,
先帝不以臣卑鄙, 猥自枉屈, 三顧臣於草廬之中, 諮臣以當世之事.
선제께선 신을 비천하다 여기지 않으시고 외람되게도 스스로 몸을 낮추시어 세 번이나 신의 초옥 안으로 찾으시어 신에게 당세의 일을 물으시니
由是感激, 許先帝以驅馳. 後値傾覆, 受任於敗軍之際, 奉命於危難之間,
이로 말미암아 감격하여 마침내 선제를 도와 힘써 일하기로 하니, 그 뒤 선제의 세력이 엎어지고 뒤집히려 할 때 신은 싸움에 진 군사들 틈에서 소임을 맡고 위태롭고 어려운 지경에서 명을 받았습니다.
爾來二十有一年矣. 先帝知臣勤愼. 故臨崩, 寄臣以大事也. 受命以來,
夙夜憂慮, 恐付託不效, 以傷先帝之明. 故五月渡瀘, 深入不毛.
今南方已定, 兵甲已足, 當奬率三軍, 北定中原, 庶竭駑鈍, 攘除姦凶,
이제 다행히 남방은 이미 평정되었고, 싸움에 쓸 무기며 인마도 넉넉합니다. 마땅히 3군을 격려하고 이끌어 북으로 중원을 정벌해야 하고, 노둔한 힘이나마 다하여 간사하고 흉악한 무리를 쳐 없애야 하며,
以復興漢室, 還于舊都, 此臣所以報先帝, 而忠陛下之職分也.
至於斟酌損益, 進盡忠言, 則攸之.褘.允之任也. 願陛下,
託臣以討賊興復之效, 不效則治臣之罪, 以告先帝之靈.
若無興德之言則責攸之.褘.允等之咎, 以彰其慢. 陛下亦宜自謀,
만일 폐하의 덕을 흥하게 할 충언이 없으면 곽유지와 비위·동윤을 꾸짖어 그 게으름을 밝히옵소서. 폐하 또한 자주 의논하시어 스스로 그 길로 드시기를 꾀하소서.
以諮諏善道, 察納雅言, 深追先帝遺詔. 臣不勝受恩感激, 今當遠離, 臨表涕泣, 不知所云.
좋은 방도를 자문하시고, 좋은 말을 살펴 받아들여 선제의 남기신 말을 깊이 따르소서. 신은 받은 은혜에 감격하여 이제 먼 길을 떠나거니와, 떠남에 즈음하여 표문을 올리려 하니 눈물이 솟아 더 말할 바를 알지 못하겠습니다.
후출사표(後出師表)
米公祠 미송사
位于历史文化名城襄阳市汉江之畔,原名米家庵,是为纪念中国古代,北宋书法家画家米芾而建。米公祠始建于元朝,扩建于明朝,是襄阳市境内标志性景观之一。
《米公祠及其石刻》1956年被公布为湖北省重点文物保护单位。2006年05月25日,米公祠作为明、清代古代建筑,被国务院批准列入第六批全国重点文物保护单位名单。
祠堂庭院清静,碑石林立,怪石嶙峋,银杏参天,给人以清静幽深的感觉。米芾人称“米襄阳”,“颠不可及”、“妙不得笔”、“与孟鹿门号两襄阳书传千古,共苏黄蔡称四巨子颠压三人”等题词,是后人对米芾书法及人物性格的高度评价。
북송 서예가 미불(米芾,쌀미,작은모양비,우거질불,膝甲 필,나무더부룩할 패 fei가 아니고 fu로 읽는다고 baidu에 검색됨,처음보는 글자이고 처음듣는 인물이다)
청렴하여 백성들이 기념하여 세움.비첩석각 진귀. 4번버스,입장료 55원
米芾(1051~1107)
中国北宋书法家,画家,书画理论家。初名黻,后改芾,字元章,号襄阳居士、海岳山人等。
祖籍太原,后迁居湖北襄阳,长期居润州(今江苏镇江)。
米芾的五世祖是宋初勋臣米信,高祖、曾祖以上多为武职官吏,其父名佐,字光辅,官至武卫将年。
其母阎氏,曾为宋英宗赵曙皇后高氏的乳娘。
曾任校书郎、书画博士、礼部员外郎。善诗,工书法,擅篆、隶、楷、行、草等书体,长于临摹古人书法,
达到乱真程度。
初师欧阳询、柳公权,字体紧结,笔画挺拔劲健,后转师王羲之、王献之,体势展拓,笔致浑厚爽劲,
自谓“刷字”,与苏轼、黄庭坚、蔡襄并称宋代四大书法家。
其绘画擅长枯木竹石,尤工水墨山水。以书法中的点入画,用大笔触水墨表现烟云风雨变幻中的江南山水,
人称米氏云山,富有创造性。
米芾传世的书法墨迹有《向太后挽辞》、《蜀素帖》、《苕溪诗帖》、《拜中岳命帖》、《虹县诗卷》、
《草书九帖》、《多景楼诗帖》等,无绘画作品传世。
著《山林集》,已佚。其书画理论见于所著《书史》、《画史》、《宝章待访录》等书中。
米芾书法宋代以来,为后世所景仰。其作书谓“刷字”,意指其作书行笔方法与前人不同。
宋史载:“米元章初见徽宗,命书《周官》篇于御屏。书毕,掷笔于地,大言曰:‘一洗二王恶札,
照耀皇宋万古。’徽宗潜立于屏风后闻之,不觉步出纵观。”
'중국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0차 중국여행 5/14일 의창 삼유동(2017.5.18 목) (1) | 2017.06.15 |
---|---|
제10차 중국여행 4/14일 십언시 무당산(2017.5.17 수) (0) | 2017.06.13 |
제10차 중국여행 3/14일 형주성(2017.5.16 화) (0) | 2017.06.13 |
제10차 중국여행 2/14일 무한 동파적벽(2017.5.15 월) (0) | 2017.06.11 |
제10차 중국여행 2/14일 무한 황학루黃鶴樓(2017.5.15 월) (0) | 2017.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