삔관에서 일찍 일어나 거리로 나와서 밤에 봤던 부자묘와 진회하를 다시 봤다.
너무 이른 시간이라 부자묘 안으로 들어가지는 못했지만 골목을 돌아다니다 어느새 금릉 제일원이라는 첨원에 다다랐다.
첨원 가는 길?
사실은 시선 방향으로 가면 부자묘와 진회하가 나온다.
내 등 바로 왼쪽에 첨원이 있는데 너무 이른 시간이라 아직 문을 열지 않아 거리를 서성이는 참이었다.
길 오른쪽에 남경골동품 단지가 보인다.
첨원 옆 식품점에서 나그네의 시선을 끈다.
이 뭐지?
남경의 특산물이랄 수 있다.닭을 진흙에 넣고 가열하여 만든다.
시골 닭서리를 하는 이야기가 떠오른다.나는 그런 곳에 끼지못했지만......
아침부터 많이 먹어서 좋을게 없으니 닭을 사지는 않고
떠우지앙 두유 2원,백설기 2원어치 샀다.
叫花鸡,又称常熟叫化鸡、煨鸡,是江苏常熟地区传统名菜。 煨 [ wēi ] 煨 묻은 불 외
是把加工好的鸡用泥土和荷叶包。制作材料有新鲜嫩荷叶、黄泥、活土鸡等。
叫化鸡的制法与周代"八珍"之一的"炮豚"相似,"炮豚"就是用粘土把乳猪包裹起,加以烧烤,然后再进一步加工而成的菜。
其色泽枣红明亮,芳香扑鼻,板酥肉嫩,入口酥烂肥嫩,风味独特。
相传,很早以前,有一个叫化子,沿途讨饭流落到常熟县的一个村庄。
一日,他偶然得来一只鸡,欲宰杀煮食,可既无炊具,又没调料。
他来到虞山脚下,将鸡杀死后去掉内脏,带毛涂上黄泥、柴草,把涂好的鸡置火中煨烤,待泥干鸡熟,
剥去泥壳,鸡毛也随泥壳脱去,露出了的鸡肉。
叫花鸡,是江南名吃,历史悠久,是把加工好的鸡用泥土和荷叶包裹起好,用烘烤的方法制作出来的一道特色菜。
只要是看过金庸小说《射雕英雄传》的同学肯定知道这道菜。
用泥巴把鸡包起来,架火烧泥巴,泥烧热了鸡也就熟了。
它又名富贵鸡,原是乞丐所创造,故称叫花(化)鸡。
相传朱元璋带兵打江山时,有一次朱元璋又打了败仗跑了三天三夜,敌人在后面穷追不舍,朱元璋筋疲力尽,
饥饿难忍,就在这时看到前方地上有一堆火,火中间还有一堆泥巴,旁边蹲着一位老叫花(化),
朱元璋好奇地问到:"你在这里干什么?”老叫花(化)一看是朱元璋,就忙说:“我在烤鸡献给大王。”
朱元璋一听非常惊奇,老叫花(化)把鸡从火中取出,打开泥巴,香味扑鼻。
朱元璋边吃边赞不绝口,“非常好吃”。从此以后,朱元璋打仗一帆风顺,当了皇帝。后来朱元璋就封此鸡为“富贵鸡”。
옛거리라 가로수도 아름드리이다.
첨원 앞에는 "금릉제일원"이란 현판이 있다.
금릉은 남경을 가리키는 오래된 말이다.
첨원瞻園 볼첨, 동산원
아직 문을 열지 않은 첨원을 문틈으로 바라보고 있다.
瞻園이라는 편액 글씨는 청나라 건륭제 방문할 때 쓴 거라한다.
태평천국역사박물관이라고 적혀있는 현판은 곽말약의 글씨이다.
여기저기 곽말약 글씨가 많다.
곽말약은 사천성 출신으로 중국 고문에 능한 학자이자 정치가라 할 수 있다.
처음엔 장개석 휘하에 있다가 나중에는 공산당 남창봉기에 참여하고 중국에서 영향력있는 인사이다.
우선 안내도를 사진으로 찍었다.
정문(남대문)에서 들어와 곧바로 직선 축선상에 건물이 태평천국역사박물관인데......
우리는 왼쪽으로 꺽어 들어가 정원을 먼저 보고 나오는 길로 태평천국역사박물관을 구경하였다.
<바이뚜에서 검색함>
瞻园面积约两万平方米,共有大小景点二十余处,布局典雅精致,有宏伟壮观的明清古建筑群,陡峭峻拔的假山,闻名遐迩的北宋太湖石,清幽素雅的楼榭亭台,奇峰叠嶂。
瞻园中辟有太平天国历史博物馆,是中国唯一的太平天国专史博物馆。87年版《红楼梦》,赵雅芝版《新白娘子传奇》的白府等便是在瞻园取景地。
瞻园是南京地区保存最为完好的明代古典园林建筑群,也是唯一开放的明代王府,曾是明朝开国功臣徐达府邸的一部分,清朝各任江南布政使办公的地点,太平天国时期为东王杨秀清王府。瞻园叠첩die2经明、清、太平天国、民国与当代,和江南多数园林一样,沿革复杂,园貌历经变迁。
瞻园是南京现存历史最久的一座园林,已有600多年的历史。
瞻园始建于明朝初年,是明太祖朱元璋称帝前的吴王府,因朱元璋御授该府与徐达而未受领,后以该府对面关帝庙为基敕建新府,广造园林,是中山王徐达的府邸花园,现仍留存的石矶及紫藤。
明朝初年,朱元璋因念功臣徐达“未有宁居”,特给中山王徐达建成了这所府邸花园,经徐氏七世、八世、九世三代人修缮与扩建,至万历年间已初具规模。
1960年,中国著名古建专家刘敦桢教授主持瞻园的恢复整建工作,不仅保留了原有的格局特点,而且还充分地运用了古典园林的研究成果,推陈出新,创造性地继承和发展了中国优秀的造园艺术。
1960년,중국의 저명한 고건축 전문가 유돈정 교수가 첨원 복원 작업을 맡았는데
원래 모습의 특징을 잘 남겼을뿐만아니라 고전 원림의 연구성과를 잘 운용하여 창조적으로 중국의 우수한 조원예술을 계승발전시켰다.
历时6年,用太湖石1800吨,使瞻园面貌一新。
6년의 세월동안 태호석 1800톤을 사용하여 첨원의 모습을 일신하였다.
太平天国历史博物馆位于瞻园东部与东北部,此即原为江南行省与江宁布政使署之建筑,由照壁和五进庭堂组成。
이런 중국식 둥근 문에 인물을 넣어 사진찍기를 좋아한다.
나는 남가산 앞에 그냥 있을 뿐인데.....
첨원 구경에 심취해 있다.
정묘당靜妙堂
정묘당靜妙堂
瞻园静妙堂位于瞻园西南,坐北朝南,面对南假山,西靠西假山,北望北假山,是瞻园的主体历史建筑。
建于明代,为三开间附前廊的硬山建筑。檐口高3.82米,面积195.75平方米,室内以隔扇划厅为南北两鸳鸯厅。
东西山墙均开小窗,南北皆为落地隔扇门,古朴典雅。
厅南建月台与坐栏,可观水池游鱼与南假山景色,有“静坐观众妙,得此状胜迹”之意。
游历此间,远眺南山树木葱茏,飞瀑炸石,俯视池中碧波粼粼,鱼翔水底,是瞻园绝佳观景之所
<출처 미상_어느 중국인 개인블러그>
정묘당 앞 연못에는 가산을 만들어 두었다.
남가산南假山
남가산과 정묘당이 서로 조화롭다.
서가산 위쪽으로 첨원에서 가장 높은 지형지물인 편정扇亭
扇亭是王府的一大奇迹,它是世界上最早的空调建筑——铜亭,是最早的取暖设备。
나도 이런 작은 정자 하나는 품고 싶다.
편액은 광동성 보령普寧시 출신 赖少其 선생의 작품이다.
편정에서 정묘당 앞을 내려본다.
태극권 무공하고 있다.
흰옷에 나무에 기댄듯 서있는 여인은 이제 입문한듯하다.
옷이 하늘거리고......남자가 가르쳐주고 있다.
입문한 여인을 쳐다본다.
고수가 칼을 두고 있길래 뽀짝 앉았다가 살짝 꺼내봤다.
서가산 앞 한가로운 물오리를 바라보는 정자
세한정歲寒亭이라
岁寒亭坐落在园中的西甲山上,此亭紧依山石,周围植被丛生,有两条回廊由南至北贯穿。南至扇面亭,北至北假山。该亭大部分隐于草木之中,游人跋山涉水游进至此,稍有疲乏的心情顿生“柳暗花明又一村”之感。而从远处眺望,此亭又与周围山石,植被以及北池的池水紧密相容。形成一幅结构紧密的古典山水画面。在这幅画面里,有亭,有廊,有山,有水。虽有只有几十平方米的面积,却给人咫尺山林的感觉。充分的体现出江南古典园林特有的自然美,形式美。
岁寒亭位于瞻园西假山,亭旁遍植松竹梅岁寒三友,亭亦因此得名。亭前有梅花坞,清代诗人袁枚曾赋诗一首:“环植寒梅处,横斜画阁东。一轮明月照,满树白云空。春到孤亭上,香闻大雪中。”以咏梅花坞。
徐达的十一世孙徐咏,曾邀请表兄陈木南至瞻园赏梅,那天正是“积雪初霁,瞻园红梅次第将放”,徐九公子和陈木南来到园中最高的铜亭上,望着那园中几百树梅花,都微微含着红萼,“天气昏暗了,那几百树梅花上都悬了羊角灯,磊磊落落,点将起来,就如千点明珠,高下照耀,越掩映着那梅花枝干横斜可爱”。
清文学家吴敬梓著《儒林外史》中说到此坞,袁枚亦有吟诵梅花坞之诗句:“环植寒梅处,横斜画阁东,一轮明月照,满树白云空。春到孤亭上,香闻大雪中。要他花掩映,新置石屏风。”据说当年朱元璋和徐达最喜欢在此对弈。
岁寒亭是瞻园最大且最精巧之亭。亭长4.5米,宽4.5米,面积20.25平方米,方形,亭前遍植松、竹、梅,故名,亦称三友亭。亭前有梅花坞,植梅数十株,此为瞻园明清“十八景”之一。
위 세한정에 대한 기사는 아래 블러그 주소에서 받은 것입니다.중국인 秋叶
http://blog.sina.com.cn/s/blog_520b11410102xr7q.html
“歲寒亭” 편액은 산동성 출신 武中奇 선생이 쓰시다.
绿竹红梅先发属荣,
青松翠柏后凋有志。
강소성 양주출신 俞律 선생이 쓰시다.
이 공간은 무엇이고 무슨 행동인지 기억이 없다.
아마 정원 구경을 쭈욱하다가 서문 근처일 것이다.
이산학당
춘파정春波亭
춘파의 여인
시간이 촉박하여도 앉을 때는 앉아야지.
이틈을 놓치지 않고 사진으로 담아내는구나.
청나라 강령포정사 사서
일람각
일람각
사진찍고 있는 위치에는 행랑이 있다.
행랑에 앉아 싸온 음식을 먹으며 힘을 비축하였다.
건물 하나하나도 의미가 있는데 자세히 사진으로 담지는 못했다.
'중국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3차 중국여행 2/7일차 남경 중산릉(2018.10.6 토) (0) | 2018.10.18 |
---|---|
제13차 중국여행 2/7일차 남경 첨원瞻園 박물관(2018.10.6 토) (0) | 2018.10.18 |
제13차 중국여행 1/7일차 남경 부자묘夫子廟(2018.10.5 금) (0) | 2018.10.18 |
제13차 중국여행 1/7일차 상해를 거쳐 남경으로 가는 길(2018.10.5 금) (0) | 2018.10.18 |
제13차 중국여행 강소성 남경 및 강서성 구강,남창,정강산,무원(2018.10.5 금~ 11 목) 결산 (0) | 2018.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