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에서 주는 조식을 맛나게 먹고
택시를 탔다.40원
검각현 시내에서 남쪽 10km 쯤에 있는 검문관진에 있는 검문관,
촉나라 강유와 위나라 종회가 맞서던 곳을 구경하고자 한다.
오는 길에 보니 촉한두부 요리집이 많이 보인다.
명월협 앞에서 먹은 두부요리는 촉한두부가 아니라 그냥 연두부 비슷한 간편식이었고
여기저기 이곳에서 보이는 촉한두부는 한국에서 먹는 '두두모'에 재료를 넣은듯한데
삼국시대 촉한 대장군 강유로부터 연유한 두부이다.
이번 여행에 먹지못했다.아쉽다.
剑门关豆腐颜色雪白、质地细嫩、软硬适宜、表面不粘、弹性、韧性绝好。口感细腻、温柔滋润、爽口无渣、味道清香、含大豆的原汁醇香。剑门关出产的黄豆生产出的豆腐,每100克含蛋白质大于8克,约为国家标准的2倍;水分低于40%,约为标准的三分之一,营养成份丰富,十分有益于人体的健康。
剑门关豆腐制作技术起源于三国时期,已有上千年历史。相传三国时期,蜀汉大将军姜维在汉中被魏将钟会,邓艾打败后,退到险隘剑门关。当时姜维营中兵疲不能战,马乏不能骑,眼看蜀北屏障剑门危在旦夕。剑门一地方官忙向姜维献计:闭关三日不战,号今百姓家家磨豆浆,以豆腐犒赏士兵,以豆渣喂战马,待兵马体力恢复再战。此计确实很灵。使士兵和战马体力迅速得到恢复。三日之后,姜维仅引五千兵将杀下关去,大败钟会,使魏兵倒退数十里下寨,解了剑门危急。
又传当年唐玄宗入蜀途经剑门,因身体疲劳,又思贵妃,寝不安,食无味,人们给他端来一碗剑门豆腐,他顿时胃口大开,一时高兴,便将这儿的特产黄豆封为“皇豆”。
8시 45분에 검문관 관광안내소(북문)에 도착하였다.
검문관 북문에서 남문쪽으로 곧바로 산길 3km 걷는 걸로 이번 검문관 여행을 계획하였다.
바이뚜에서 받은 자료로 우선 검문관 대하여 정리해본다.
검문관풍경구는 a5급 여행지이다.전국 100대 홍색여행지 중의 하나이다.
검문관과 취운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관상할 곳은 300여 개소이다.
사천성 대구채환선(https://new.qq.com/omn/20181216/20181216A0N3O6.html)의 여행지이고 삼국문화 핵심지역이다.
삼국시대 촉나라 제갈량은 검각에 군사시설을 하고 "검각"이라고 하며 주요 군사거점으로 삼았다.이후 검각 또는 검문이라고 지명을 두루 사용했는데 민국시대 검각현이 설치되면서 검각이라고 부르고 있다.
검문관 풍경구 개요
剑门关风景区是国家AAAAA级旅游景区,国家级风景名胜区,全国重点文物保护单位,国家森林公园,国家自然与文化双遗产,全国100个红色经典旅游景区之一。
中国知名旅游目的地,国家文化产业示范基地,全国爱国主义教育基地,四川省自然保护区,四川省地质公园,《中国国家地理》四川最美100个拍摄点之一,已被列入中国世界文化遗产预备名单。剑门关风景区地处四川省广元市剑阁县城南15公里处。
剑门关风景区由剑门关、翠云廊两个紧邻景区组成,总规划面积84平方公里,核心区面积6平方公里,有观赏景点(区)300余个,主要景点有剑门关、剑阁道、七十二峰、小剑山、姜公祠、姜维墓、邓艾墓、钟会故垒、金牛道、后关门、石笋峰、梁山寺、雷霆峡、翠屏峰、仙峰观、古剑溪桥、志公寺、4D影院、鸟道、玻璃景观平台等,是四川大九寨环线的重要节点和蜀道三国文化精品旅游线路的支撑中心。
剑门关因唐代大诗人李白《蜀道难》中“剑阁峥嵘而崔嵬,一夫当关,万夫莫开”而闻名。它集蜀道文化、三国文化、战争文化、红色文化于一体。
지명 유래
三国时,蜀汉丞相诸葛亮以汉德县(治今汉阳镇)有“大剑至小剑隘束之路三十里,连山绝险”,于此地“凿石架空为飞梁阁道,以通行旅”,又于大剑山峭壁中断两崖相峙处,倚崖砌石为门,置阁尉,设戍守,谓之剑阁,成为军事要隘。
自隋朝以后,陕甘入蜀改道由葭萌县越牛头山,经达摩戍(民间称大木树),直抵剑门关口,小剑至大剑关口的栈阁道渐废,“剑阁”之名亦由剑阁道的简称成为剑门关的别称。因此,自唐至清的许多史籍中使用的“剑阁”、“剑门”之名均指剑门关一地。民国二年(1913年)改剑州为剑阁县后,“剑阁”才专指县名。
***
剑门关是四川剑阁县所属的一个镇,国家风景名胜区。位于四川盆地边缘,龙门山脉北段、嘉陵江西岸。北系秦川,南通巴渝,素有两川咽喉,蜀门锁钥之称。古代的四川盆地是一个内海,在白垩纪地壳运动中海水下跌,海底石隆起,形成了坚硬的砾岩山体,这山体有七十二峰,峰峰像剑,大小剑山两山对峙,状似一道门,故称剑门
지형 모습
剑门关景区地处四川盆地北部边缘断褶带,为龙门山脉剑门山干支,属中生界白垩系下的苍溪组(城墙岩群剑门关组)地层,剑门关砾岩由巨厚块关紫灰色砾岩、紫灰色泥岩石层。
기후특징
剑门关风景区属亚热带湿润气候区,气候温和、雨量充沛,四季分明。平均气温14.0‴,最冷月1月平均气温4.2‴,最热月平均气温24.5‴;年平均降水量为1075.毫升,5—10月为雨季,占全年降雨量87.4%。降雪集中在1—2月,海拔800米以上地区积雪较多;日照分布不均,秋冬两季云雾天气较多,日光难以到达地面,平均125天,占全年的34%;相对湿度74%。
역사문화 历史文化
巍峨剑门,扼入蜀的咽喉,由于它地势险要,历来为兵家必争之地。西汉文学家张载在《剑阁铭》赞道:“岩岩梁山,积石峨峨。远属荆衡,近缀岷嶓。南通邛僰,北达褒斜。狭过彭碣,高逾嵩华。惟蜀之门,作固作镇。是曰剑阁,壁立千仞。穷地之险,极路之峻。”唐代著名政治家、文学家李德裕在《铭》中写道:“群山西来,波积云屯。地险所会,斯为蜀门。层岑峻壁,森若戈戟。万壑奔东,双飞高阙。翠岭中横,黯然黛色。树若雄屏,以卫王国。”
三国蜀汉重臣邓芝曾说:蜀有重险之固,吴有三江之阻。重险者,谓外有褒斜、子午之险,内有剑阁之隘也。西晋著名文学家左思《赋》云:阻以剑阁。东晋末年重要将领、大臣殷仲堪曰:剑阁之隘,蜀之关键。唐刘凤云:梁山之险,蜀恃为外户,其山峭壁中断,两崖相,如门之辟,如剑之植,故名剑门。《益州图经》云:小剑山截野横天,奔峰倒地,挟楚包汉,呀秦拥蜀。大剑虽号天险,有扼塞可守,崇墉之间,径路颇坦。小剑则凿石架梁,飞阁成道,耸峭不容飞越,李白所云一夫当关万夫莫开者也。虽然,刘禅、萧纪之徒,其如地利何哉?
秦惠文王九年(公元前316年),司马错灭蜀,即由此道。相传战国时期,秦惠王欲吞蜀,苦于无路进蜀,谎称赠五金牛、五美女给蜀王,蜀王信以为真,派身边五丁力士,劈山开道,入秦迎美女,运金牛,才开通了这条蜀道,称为“金牛道”,又称剑门蜀道。东汉永平四年(公元61年),司隶校尉杨厥重修剑门蜀道。
三国时期,蜀丞相诸葛亮率军伐魏,路经大剑山,见群峰雄伟,山势险峻,便令军士凿山岩,架飞梁,搭栈道。诸葛亮六出祁山,北伐曹魏,曾在此屯粮、驻军、练兵;又在大剑山断崖之间的峡谷隘口砌石为门,修筑关门,派兵把守。公元263年,魏军镇西将军钟会率领10万精兵进取汉中,直逼剑门关欲夺取蜀国,蜀军大将姜维领3万兵马退守剑门关,抵挡钟会10万大军于剑门关外。
晋南北朝时期
西晋元康八年(公元298年),成汉政权奠基人、氐族人李特率领关中流民就食巴蜀,过剑阁,叹息曰:“刘禅有如此地,面缚于人,岂非庸才耶?”东晋升平三年(公元359年),梁州刺史司马勋叛乱,引兵入剑阁,攻涪(今绵阳),进围益州(今成都),丞相桓温遣东晋名将朱序等讨平之。东晋宁康元年(公元373年),前秦皇帝苻坚使部将徐成攻克剑阁,进而夺取梁、益二州。
南朝齐建元二年(公元480年),南齐大将崔慧景于剑阁击败引氐族来犯梁州的李乌奴。南朝梁天监四年(公元505年),北魏名将邢峦遣统军王足入剑阁,围涪城。天监十三年(公元514年),北魏遣甄琛出剑阁。天监十五年(公元516年),巴西、梓潼二郡太守张齐与北魏争葭萌关失败,剑门守军弃城而去。普通六年(公元525年),益州刺史萧渊猷遣其将樊文炽围剑门关,失败遁走。大同元年(546年),剑阁复入于梁。大宝元年(公元550年),氐族酋长杨法琛据利州(今广元)归附北魏,益州刺史、武陵王萧纪遣杨乾运讨伐于剑门关。承圣二年(公元553年),萧纪叛乱,东侵荆州,西魏尉迟迥乘虚南下潼州(今绵阳),杨乾运等密以剑阁送款于魏,迥入剑阁,蜀遂瓦解。后周大象元年(公元579年),益州总管王谦举兵响应相州总管尉迟迥,讨伐杨坚,杨坚使隋朝名将梁睿讨之,自剑阁进逼成都。
隋唐五代时期
唐元和元年(公元806年),山南西道节度使严砺夺剑门,入剑州,平定作乱的西川节度使刘辟。咸通末年(公元874年),南诏犯成都,唐军出剑门,而敌退却。乾宁四年(公元897年),西川节度使王建攻东川,陇右节度使李茂贞遣部将李继昭援救,留偏将守剑门关。
后唐同光四年(公元926年),后唐灭前蜀,李绍琛(康延孝)在剑州拥兵自称西川节度使,魏王李继岌遣任圜追击之,任圜先遣别将下剑门关守之,遂进败绍琛于汉州。长兴元年(公元930年),东川节度使董璋、西川节度使孟知祥谋据两川,董璋遣兵筑七寨于剑门关,又于剑门关北置永定关,布列烽火,大将石敬瑭受命讨伐董璋,偷袭剑门关。后周显德二年(公元955年),遣军伐后蜀,取秦、阶诸州,蜀人聚兵粮于剑门关、白帝城。
宋时期
宋乾德三年(965年),王全斌伐后蜀,有降卒进言:“由昭化县江东越大山数重,有狭径,名来苏,蜀人于江西置栅守之,对岸有渡,路出剑门南二十里,至青缰店与官道合,由此进兵则剑门之险不足恃也。”康延泽曰:“蜀人并力守剑门,若令诸帅协力攻取,而命别将取来苏,达青缰,北击剑阁,与大兵夹攻,破之必矣。”王全斌从之,遂夺剑门关。
景区布局
围绕蜀道文化、三国文化、红色文化、关隘文化、邮驿文化、诗歌文化、民俗文化、生态文化等主题,打造特色旅游产品,依托深厚的历史文化底蕴、奇特的丹霞地貌、优美的生态环境、丰富的民俗文化,对古关、古道、古柏、古镇、古寺、古桥、古祠、古墓、古驿站、古碑刻、古战场、古诗词等进行了保护和利用,先后投资 6.9 亿元,建成了蜀道三国文化线、绝壁观光线、生态文化旅游线。
위촉 전쟁시기 군대편성 (중국 인터넷 자료)
검각현 주요 관광지 (중국 인터넷 자료)
장비 묘廟와 등애 묘墓가 보이고,
검문관 구경하고 취운랑 가기 위한 경유지로만 여겼던 보안진普安鎭에 옛날 검주고성이 표시되었디.
검문관 주요 경점 안내도
북에서 남으로 들어가는 검문관 관루(인터넷 사진)
이번 내 여행 방향이다.
남에서 북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찍은 검문관 관루(인터넷 사진)
남에서 북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찍은 검문관 관루(바이뚜 사진)
历代官府多次在剑门关关隘修建关楼,均毁于战火,明时又重新建造,清时几经修复,于民国二十四年1935年修川陕公路时被全部拆毁。1992年重修的关楼位于大家看到的新关楼对面,2008年的“5.12”特大地震使关楼严重受损,2009年,剑阁县决定在清代关楼的原址上重建关楼,关楼是仿照明代关楼重新修建的。关楼宽18.3米、高19.61米、深17.7米,全木结构,气势恢宏。
검문관 조감한 모습(바이뚜 사진)
이상으로 검문고도,검각현,검문관에 대한 배경 설명을 마치고
아래는 내가 체험한 것을 기록해본다.
검문관 관광안내소에 도착할 무렵 눈에 띠는 풍광을 담아보았다.
거대한 암석이 노출되어 있다.
검문관 관광안내소는 매우 넓다.
주차장도 있고 기념품 가게도 있고 박물관도 있다.
우선 박물관에 가서 검문관 전체적인 지형지물 익히고
이 검문관 관련한 역사적인 시문들을 알아보았다.
검문관 요새
지도를 보면 108번 국도가 명월협에도 있고
이곳 검문관에도 이 조형도 오른쪽으로 지나간다.
검문관 관루 근처에서는 터널로 지나가고 있었다.
http://www.yellowsheepriver.com/cyber2007/web/sc000033_1/9shici.htm
(아래 곽말약 시를 제외하고 타자 참고한 사이트)
행촉서지검문幸蜀西至劍門
당 현종 唐 玄宗 李隆基(685年9月8日—762年5月3日)
劍閣橫雲峻,鑾輿出狩回。
翠屏千仞合,丹嶂五丁開。
灌木縈旗轉,仙雲拂馬來。
乘時方在德,嗟爾勒銘才。
상황서순남경가 上皇西巡南京歌十首
당 이백 唐 李白(701年-762年)
胡尘轻拂建章台,圣主西巡蜀道来。
剑壁门高五千尺,石为楼阁九天开。
九天开出一成都,万户千门入画图。
草树云山如锦绣,秦川得及此间无。
华阳春树号新丰,行入新都若旧宫。
柳色未饶秦地绿,花光不减上阳红。
谁道君王行路难,六龙西幸万人欢。
地转锦江成渭水,天回玉垒作长安。
万国同风共一时,锦江何谢曲江池。
石镜更明天上月,后宫亲得照蛾眉。
濯锦清江万里流,云帆龙舸下扬州。
北地虽夸上林苑,南京还有散花楼。
锦水东流绕锦城,星桥北挂象天星。
四海此中朝圣主,峨眉山下列仙庭。
秦开蜀道置金牛,汉水元通星汉流。
天子一行遗圣迹,锦城长作帝王州。
水绿天青不起尘,风光和暖胜三秦。
万国烟花随玉辇,西来添作锦江春。
剑阁重关蜀北门,上皇归马若云屯。
少帝长安开紫极,双悬日月照乾坤。
검문剑门
당 두보 唐 杜甫(712年—770年)
惟天有设险,剑门天下壮。连山抱西南,石角皆北向。
两崖崇墉倚,刻画城郭状。一夫怒临关,百万未可傍。
珠玉走中原,岷峨气凄怆。三皇五帝前,鸡犬各相放。
后王尚柔远,职贡道已丧。至今英雄人,高视见霸王。
并吞与割据,极力不相让。吾将罪真宰,意欲铲叠嶂。
恐此复偶然,临风默惆怅。
검각명剑阁铭
서진西晉 장재张载(생몰 불상)
북송 철학자 张载(1020年—1077年12月6日)와는 다른 사람
岩岩梁山,积石峨峨。远属荆衡,近缀岷嶓。
南通邛僰,北达褒斜。狭过彭碣,高逾嵩华。
惟蜀之门,作固作镇。是曰剑阁,壁立千仞。
穷地之险,极路之峻。世浊则逆,道清斯顺。
闭由往汉,开自有晋。
秦得百二,并吞诸侯。齐得十二,田生献筹。
矧兹狭隘,土之外区。
一人荷戟,万夫趑趄。形胜之地,匪亲勿居。
昔在武侯,中流而喜。山河之固,见屈吴起。
兴实在德,险亦难恃。洞庭孟门,二国不祀。
自古迄今,天命匪易。凭阻作昏,鲜不败绩。
公孙既灭,刘氏衔璧。覆车之轨,无或重迹。
勒铭山阿,敢告梁益。
곽말약
剑门天失险,如砥坦途通
;秦道栈无迹,汉砖土欲融
;群峰齿尽黑,万砾色皆红
;主席思潮壮,人民天下雄
(간체자 참고 : http://www.doc88.com/p-1671300945261.html )
모택동
过剑溪桥
明·李壁
看山晓渡剑溪桥,
踏雾冲去马脚遥。
见说金牛经历处,
欲将兴废问渔樵。
石牛道
明·卢雍
蜀国得金牛, 五丁凿山道。
道通取灭亡, 金石信非宝。
건성건성으로 검문관 박물관을 구경하고
매표하였다.
130원
취운랑 포함한 가격이다.
단체 여행객 뒤에 길게 줄을 서서 입장을 기다리다가
앞쪽으로 가서 뭐라고 했더니 입장을 시켜준다.
망관교
장비가 이곳에서 관루를 바라봤다는 이야기가 있다.
안내문에 의하면
"장비가 마초와 싸워 승리후 유비를 도와 가맹을 지키던 중 공명은 곧 검문관에 요새를 만든다.
오래지 않아 관루 낙성하고 잔도 개통하니 장비가 의심하는 마음이 있어 홀로 말을 타고 와 보니
과연 공명이 관루와 잔도를 개통하였는지라 장비는 '제갈공명은 과연 신인이로다'라고 감탄하였다. "
망관교를 지나 한가롭게 숲길을 간다.
숲이 깊고 편안하다는 생각을 하면서도
오른쪽에는 사람소리도 들리고 차량 운행하는 소리도 들리는 게 궁금하였는데
한국에 와서 보니 108번 도로가 지나가고 있었다.
이백의 그 유명한 "촉도난蜀道难" 벽제
噫吁嚱!危乎高哉!
蜀道之难,难于上青天! 촉으로 들어가는 길이 어렵기는 푸른 하늘에 오른 것 보다 더 어렵도다.
蚕丛及鱼凫,开国何茫然!尔来四万八千岁,不与秦塞通人烟。
西当太白有鸟道,可以横绝峨眉巅。
地崩山摧壮士死,然后天梯石栈相钩连。
上有六龙回日之高标,下有冲波逆折之回川。
黄鹤之飞尚不得过,猿猱欲度愁攀援。
青泥何盘盘,百步九折萦岩峦。
扪参历井仰胁息,以手抚膺坐长叹。
问君西游何时还?畏途巉岩不可攀!但见悲鸟号古木,雄飞雌从绕林间。
又闻子规啼夜月,愁空山。 또, 자규가 우는 소리 들리니 빈 산에 달은 더욱 쓸쓸하네(일부러 月을 주어로 해석함)
蜀道之难,难于上青天,使人听此凋朱颜。
连峰去天不盈尺,枯松倒挂倚绝壁。
飞湍瀑流争喧豗,여울이 날아들고 물살이 급하여 시끄러울 지경이고
砯崖转石万壑雷。단애에서 떨어지는 물소리는 돌을 굴려 온 골짜기 우뢰치는듯하다.
其险也若此,嗟尔远道之人胡为乎来哉!
剑阁峥嵘而崔嵬,一夫当关,万夫莫开。검각 산세가 험준하고 장대는 높으니
한 사내 관을 틀어쥐면 만병도 열지못하리라.
所守或匪亲,化为狼与豺。
朝避猛虎,夕避长蛇,磨牙吮血,杀人如麻。
锦城虽云乐,不如早还家。
蜀道之难,难于上青天,侧身西望长咨嗟!
* 위 촉도난 일부 해석은 내 멋대로 한 것이니 재 인용에 주의를 요함 *
세우랑
세우랑은 촉중 가경이라는데 어느 곳이 가경인지는 잘 모르겠다.
아래 남송 시인 육유의 부조가 인상적이다.
남송은 금나라에게 압력을 받던 시기였다.
금나라와 맞서던 섬서성에서 서천성 성도로 가는 중에 이곳에서 비를 만나
아래와 같은 유명한 기행시를 남기데 된다.
雨过剑门
陆游
衣上征程杂酒痕,
远游何处不消魂。
此身合是诗人未,
细雨骑驴入剑门。
문득 숲 속에 지질박물관을 만난다.
2010년에 건립.
3D도 동원하고 섬세하게 설명하고 있었으나
지질에 대해 문외한이라 잘 이해를 못했다.
剑门山的形成,是在漫长的地质构造运动中,四川盆地北部边缘龙门山麓的剑门洪积堆,形成巨厚砾岩,出露地表,称为城墙岩群剑门关组,亦称剑门关砾岩。剑门岩由上至下,砾岩层次由多变少,砾径由大变小,砾泥岩逐渐增多。岩层向东南呈不均匀倾斜的单斜构造,北坡陡峭,南坡渐缓,这些地质特点,铸造了剑门山的奇险。
剑门山地处四川盆地北部边缘断褶带。在侏罗纪时期(距今约2-1.4亿年),四川周围隆起成山,盆地积水成湖,因受强烈风化侵蚀作用,山地为湖盆提供了丰富的沉积物。形成南北巴湖和蜀湖。白垩纪时期(距今1.4-0.65亿年)剑门山脉正处在蜀湖北部边缘龙门山前山带,当龙门山强烈上升时,形成剑门洪积堆与剑门砾岩。在喜马拉雅运动中,龙门山再次强烈上升,龙门山再被凸显。
계곡에 떨어진 꽃
나무에 아직 걸린 꽃
점점 가파라지고 있다.
붉은 색 바위도 이 지역 지질의 특징인듯하다.
쥐라기 백악기 등 뭐라고 설명은 된듯한데 기억할 수 없다.
역암礫岩[lìyán]이 노출되어 있다.
역암 : 운반작용을 통해 퇴적된 암석 중에 크기 2mm 이상인 입자가 많은 암석을 가리킨다.
자규교
자규는 두견새로서 이 곳 촉도에 많다고 한다.
위에 언급한 이백의 촉도난에도 자규에 대하여 읊고 있다.
"又闻子规啼夜月,愁空山"
( 또, 자규가 우는 소리 들리니 빈 산에 달은 더욱 쓸쓸하네)
자규교 아래 계곡 바위
자규교 위 계속 바위
숲 속을 잠시 벗어나 먼 산이 보인다.
오정평 앞 오정,다섯 장정
전국시대 중기 촉왕 개명왕開明王이 다섯 장정에게 명하여 금석우를 가져오게 한다.
다섯 장정은 금석우를 가져오기 위해 길을 내고 있다.
이 금석우라는 것은 진 혜왕이 흘린 거짓말이다.금석우가 금똥을 싼다는 것이다.
그래서 개명왕은 금석우가 탐이 났던 것이다.
장정은 길을 내어 큰 뱀과 두꺼비와 싸우고,대량산에 칼을 뿌려 대량산은 크고작은 검산으로 끊어진다.
드디어 금석우를 가져오게 되고
진 혜왕은 그 길을 따라 들어와 촉국을 얻게 된다는 전설이다.
이때 만들어진 길을 금우도 또는 석우도라고 한다.
蟒蛇[mǎngshé] 1.큰 구렁이 2.큰 뱀
蟒 이무기 망, 황충(蝗蟲) 맹, 메뚜기 맹
蟾蜍[chánchú] 1.두꺼비 2.달의 대칭 3.달
蟾 두꺼비 섬 1. 두꺼비 2. 달 3. 연적(硯滴) 4. 달 속에 두꺼비가 있다는 전설에서, 달의 별칭
蜍 두꺼비 여, 두꺼비 서 1. 두꺼비 여 2. 두꺼비 서
보통 ‘癞lài蛤蟆[háma]’ ‘疥jiè蛤蟆’라 부르며 ‘蟾蜍’는 약 이름 또는 문학적인 데에 두꺼비라는 뜻으로 쓰임
蟾蜍 섬여
양서류 두꺼빗과에 속한 종
蛤蟆 [háma]는 개구리와 두꺼비의 통칭
蛤는 중국어 발음이 두가지.조개라는 뜻으로 [gé],두꺼비라는 뜻으로 [há]
蛤 대합조개 합 1. 대합조개(大蛤--: 백합과의 조개) 2. 조개(판새류의 연체동물 총칭)
蟆 이체 蟇 (두꺼비 마, 파리매 막) 1. 두꺼비(두꺼빗과의 양서류) a. 파리매(모기의 일종) (막)
오정교
"금우도"
오정평 앞에서 쉬고 계실 때 나는 잠깐 숲으로 이끈는 작은 길이 있어 들어왔다.
"금우도"라는 석벽 글씨가 있다.단정한 글씨가 참 예쁘다.
바로 숲 밖으로는 108번 국도가 지나가고 있을 것이다.
금우정
검문관 관루는 저쪽일까?
시선교
안내문에 의하면
"시선 이백이 촉으로 들어가며 검문관을 지날 때,바로 이곳에 서서 관 앞 위의로운 만단의 봉우리를 보며 감탄했다.
바로 여기가 관을 보며 감탄하고 관을 보고 시를 읊은 곳이다."
나도 감탄해본다.
저 바라보는 방향은 북문쪽이다.
북문쪽에도 많은 산이 있다.
삼국시대 위나라 종회 군이 진치고 징치고 함성쳤을 곳이
지금은 평화롭기만하다.
시선교에서 남문 쪽 단애를 본다.
계곡물에 떠있는 거품은 오르는 길에 계속 있었고 관루 옆에도 있었는데 정체를 밝히지는 못했다.
문염헌文焰軒
“焰[ yàn ]” 爓 불꽃 염
아래는 탄관대시사주랑嘆關臺詩詞走廊에 있는 작품들
剑门城北回望剑关诸峰青入云汉感蜀亡事慨然有赋
陆游(1125—1210)
自昔英雄有屈信,危機變化亦逡巡。
陰平窮寇非難御,如此江山坐付人。
大剑送别刘右史
노조린盧照隣(632年-695年)
金碧禺山远,关梁蜀道难。
相逢属晚岁,相送动征鞍。
地咽绵川冷,云凝剑阁寒。
倘遇忠孝所,为道忆长安。
寄张剑州并示女弟
王安石(1021.12.18-1086.5.21)
剑阁天梯万里寒,春风此日白衣冠。
乌辞反哺颠毛黑,鸟引思归口血丹。
行路想君今眚瘦,相逢添我老悲酸。
浮云渺渺吹西去,每到原头勒马看。
剑门关
陆游(1125—1210)
剑门天设险, 北乡控函秦。
客主固殊势, 存亡终在人。
栈云寒欲雨, 关柳暗知春。
羁客垂垂老, 凭高一怆神。
劍門
두보杜甫(712年—770年)
唯天有设险,剑门天下壮。
连山抱西南,石角皆北向。
两崖崇墉倚,刻画城郭状。
一夫怒临关,百万未可傍。
珠玉走中原,岷峨气凄怆。
三皇五帝前,鸡犬各相放。
后王尚柔远,职贡道已丧。
至今英雄人,高视见霸王。
并吞与割据,极力不相让。
吾将罪真宰,意欲铲叠嶂!
恐此复偶然,临风默惆怅。
幸蜀西至劍門
당 현종 이융기
劍閣橫雲峻,鑾輿出狩回。
翠屏千仞合,丹嶂五丁開。
灌木縈旗轉,仙雲拂馬來。
乘時方在德,嗟爾勒銘才。
이백
"一夫當關,萬夫莫開。"
한 사내가 관을 틀어쥐면 일만 병사도 열지못하리라.
두보
"唯天有设险,剑门天下壮。"
대저 하늘이 험한 곳을 만들었으니
검문이라는 곳은 하늘 아래 굳세게 버틸 수 있도다.
두보
"一夫怒臨關,百萬未可傍。"
한 사내가 성내어 관을 지키고 있으면
백만 병사라도 가히 옆으로 새지 못하리라.
뇌명교,우뢰처럼 크게 계울물 소리 들리는 다리라는 뜻?
촉도난에 다음과 같은 싯귀가 있는데 거기서 따온 이름일까?
飞湍瀑流争喧豗,여울이 날아들고 물살이 급하여 시끄러울 지경이고
砯崖转石万壑雷 단애에서 떨어지는 물소리는 돌을 굴려 온 골짜기 우뢰치는듯하다.
湍 [tuān] 여울 단 1. 여울(바닥이 얕거나 폭이 좁아 물살이 세게 흐르는 곳) 2. 급류(急流) 3. 빠르다
豗 [huī] 맞부딪칠 회 1. 맞부딪치다 2. (돼지가 땅을)뒤지다 3. 떠들썩하다 4. 시끄럽다[부수]
喧豗[xuānhuī] 떠들다
砯 [pīng] 물소리 빙 1. 물소리 2. 물이 산의 바위에 부딪치는 소리
곧 검문관 관루에 다다를듯한데......
이 어디쯤에 놀이공원 그물통과처럼 시설물이 있어 등반하였다.
그 높은 시설물 위에서 검문관 관루쪽을 바라보았으나 보이지는 않는다.
내 모습을 촬영한 중국인이 내 위챗 아이디를 잃어버렸는지 여태 소식이 없다.
한 보름 지나서 보내준다 하였는데......
드디어 관루가 보인다.
땡겨서 관루를 담아본다.
내가 중국 주유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이런 거 하나 보자고......
봐서 뭐할건데?
그냥 보고싶을뿐이다.
역사와 인민이 어떻게 어울렸는지 그저 내 발과 땀으로 느끼고 싶을뿐이다.
드디어 여기 관루관경점에 섰다.
여기서 사진을 찍어야 잘 나온다는 뜻인가보다.
검문관은 제갈량에 의해 처음 시작하였으니 대략 1700년의 역사를 갖고 있다.
관루는 여러 차례 훼손되었다가 다시 지어지곤하였다.
정면을 공격해서는 한 번도 함락되지 않았다고 한다.
1935년 도로 내면서 훼손하고
2008년 큰 지진으로 훼손되고...
剑门关 关楼
历代官府多次在剑门关关隘修建关楼,均毁于战火,明时又重新建造,清时几经修复,
于民国二十四年1935年修川陕公路时被全部拆毁。
1992年重修的关楼位于大家看到的新关楼对面,
2008年的“5.12”特大地震使关楼严重受损,
2009年,剑阁县决定在清代关楼的原址上重建关楼,关楼是仿照明代关楼重新修建的。
关楼宽18.3米、高19.61米、深17.7米,全木结构,气势恢宏。
http://www.yellowsheepriver.com/cyber2007/web/sc000033_1/1fengguang.htm
(검문관에 대한 중국인이 쓴 기사)
이백의 시 촉도난에서처럼
한 사내가 관을 틀어막고 서있다.ㅋㅋ
一夫当关,万夫莫开。한 사내 관을 틀어쥐면 만병도 열지못하리라.
천하웅관天下雄关
안저장안眼底长安
검문관 북쪽에서 남쪽으로 들어가고 있다.
남쪽에서도 북쪽으로 오는 사람도 많다.
검문관은 촉의 북쪽을 병풍처럼 두룬 장벽이고
양천으로 들어가는 인후에 해당한다.
지금 보는 관루는 청나라 시대에 있던 위치에 명나라 풍으로 2009년에 지은 것이다.
정말로 병풍같은 장벽이다.
관루에 올라 액자식으로 장안 쪽을 바라본다.
안저장안眼底长安
내려가는 사람들 바로 오른쪽 바위 위에서 이곳을 바라보는 것이 풍경이다.
관루에서 남쪽을 바라본다.
공명이 관을 바라보고 서 있다.
이 관루에는 사천성 및 검문관 등에 대하여 교양 지식을 함양할 수 있는 여러 사진 및 설명이 되어 있었다.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는 곳이라 생각하여 사진으로 남기지 않았는데 기억에 남는 게 없다.
남쪽으로도 한 참은 계속 협곡이다.
고저는 완만하여 걷기 편하다.
다시 관루를 바라본다.
남쪽에서 바라 본 모습이다.
저 너머가 위나라가 공격해온 곳이다.
직방대 直方大[zhí fāng dà]
주역 건괘 六二
땅이 평평하고 곧으며平直、단정하며端方、바르고크다正大는 뜻
《易·坤》
:“六二,直方大,不习无不利。《象》曰,六二之动,直以方也。
不习无不利,地道光也。”
宋 孙宗鉴 《东皋杂录》
:“ 东坡喜嘲谑,以 吕微仲 丰硕,每戏之曰:‘公真有大臣体,此《坤》六二所谓直方大也。’”
안내문에 의하면
"검문관이 방직대한 것을 찬미한 것이다.정치도 마땅히 대지와 같아야 하는 것을 은유하고 있다.
민국시기 사천대학 교수로서 유명한 학자인 유함흔劉咸炘 선생이 쓴 것이다"
* 炘[xīn] 화끈거릴 흔
강유수관姜維守關
촉나라 강유가 3만으로서 위나라 종회의 13만 대군을 막아내고 있는데
위나라 등애가 음평을 넘어 후주 유선은 항복하자
관을 지키던 장사들이 노하여 칼을 뽑아 바위를 자른다.
강유를 지나서 남쪽으로 걷던 중 오른쪽으로 잔도栈道가 안내되어 들어가 봤다.
들어갔지만 곧 되돌아 왔다.
금우협 잔도가 표시된 안내도
(인터넷에서 받은 금우협 잔도 사진)
계곡 왼쪽에 길이 보인다.위쪽에서 사진 아래쪽으로 쭈욱 들어오다가 사진 오른쪽 잔도로 연결되는 검문관 잔도길로
접어 들었다.이 길은 결국 남문쪽으로 연결되겠지만 얼마나 깊은지 알 수 없어 계곡을 건너지 않고 되돌아 갔다.
건너편에서 시끌벅적 다가오는 사람들이 있었지만 여행에 대한 호기심 보다는 때로 일정을 순조롭게 마치는 것이 더 중요하니 되돌아 올수밖에 없었다.
내가 찍은 사진은 없다.
剑门栈道
据说,三国时期,蜀丞相诸葛亮率军伐魏,路经大剑山,见山势险峻,便令军士凿山岩,架飞梁,搭栈道,助其六出祁山,北伐曹魏。虽然古栈道早已湮没在历史的长河,后来又重新建在山峰之上。
관루 안에서 찍은 사진이다.
거의 대부분 역사적 이야기가 왕조시대와 관련되는데 이 사진은 항일시기라 특별해 보여 사진으로 담아봤다.
서향진이라는 홍군 출신 장군이 이곳 검문관에서 전공을 세우고 장차 중국의 부총리까지 되었나보다.
금우협 잔도 살짝만 구경하고 되돌아와 남문쪽으로 가다가 홍군~ 뭐라고 안내가 있었지만 가지는 않고 위 사진 한 장 남겨본다.
红星广场是红军血战剑门关遗址。
1935年4月2日,红四方面军经过激战,一举攻克川北军事要塞剑门关,红军血战剑门关创下了战争史上的奇迹,
是红四方面军的著名战例之一。红军血战剑门关遗址是全国爱国主义教育基地和100个红色旅游景点景区之一。
2009年12月22日,红星广场落成,包括红军攻克剑门关纪念碑、红军攻克剑门关纪念馆、将帅雕塑和石刻标语。
广场上的铜像分别为剑门关战斗的总指挥徐向前和副总指挥王树声。纪念馆大门右侧,展示的是剑门战斗大捷的艺术墙,艺术墙前面是红四方面军长征路线图。红军攻克剑门关纪念馆四壁为剑门七十二峰,地下为下沉式沙盘。
整个纪念馆分为两个部分,
第一部分主要展示红军在剑阁发生的一些革命斗争和所留下的革命文物。
第二部分是观看红军攻克剑门关的战斗场景,该馆采用国际上先进的玻璃屏幕背投和投影仪多屏融合技术,通过多媒体生动地模拟出红军浴血剑门关的历史场景
:1935年4月2日的剑门雄关,英勇的红军战士前赴后继,用鲜血和生命将鲜红的军旗插上了雄伟的剑门关。
제갈량 행차 가장행렬
이런 가장 행렬이 좀 유치해보이긴 해도 관광객에게 볼거리를 주려고 하는 노력이 예쁘다.
검문관 남쪽 패방
11시 19분
검벽문고 오천척 劍壁門高 五千尺 : 검문관의 벽문은 높아 구천척이나 되고
석위누각 구천개 石爲樓閣 九天開 : 바위는 누관이 되니 구천으로 열려 있다.
대략 두시간 반 정도 검문관 신나게 구경하였다.
북문에서 남문으로 거의 곧은 길로만 급속행군하듯 구경하였다.
시간이 된다면 유리잔도 등도 몸소 구경하는 것도 괜찮으리라.
검문관을 구경하였으니 이제 장비가 가꾸었다는 취운랑으로 가면된다.
검문관에서 취운랑까지는 108번 도로를 따라 남쪽으로 8km 가면 된다.
검문관에서 나오자 마자 취운랑으로 가는 버스가 기다린다.봉고버스.
이 버스는 취운랑을 경유하여 보안진까지 가는 버스이다.
기쁜 마음에 얼른탔다.
내 마음은 사실 조급했다.
취운랑 구경하고나서 이후에 경과할 칠곡산대묘까지의 교통편이 아슬아슬할듯했기 때문이다.
버스가 바로 출발할 것으로 기대를 했는데 아니었다.
한참을 기다려 출발하여 남쪽으로 가는듯하다가 검문관진 시내까지 갔다가
세상에나 다시 돌아서 검문관 남문으로 오는 것이다.
내 마음만 급했지 이들은 나름대로 무슨 시간표가 있는듯하다.
이들의 생활 규칙이 있을텐데 나그네로서 재촉할 수 없지.
다른 버스가 남문에 도착하고서야 비로소 버스는 출발한다.
남문에 나오자 마자 이 버스가 보이지 않았다면 택시를 탔을 것이다.
암튼 애타게 기다리는 것도 여행의 일부가 될 것이다.
시골길을 느릿느릿 운행하는 버스,
때로는 약간 언덕길로도 가고...
어느 마을 앞에서 사람을 태우기도 하고
나랑 이야기를 나누었던 어린 여학생이 한적한 시골길에 내리기도 하고......
아까 떠나온 검각 72봉으로 다시 달려가는듯하다가 뒤에 두고 도망가듯하다가
108번 도로 가상 한적한 곳에 차가 멈춘다.
취운랑이다.
'중국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4차 중국여행 11/15일차 면양시绵阳市 재동현梓潼县 칠곡산대묘 (2019.4.14 일) (0) | 2019.05.01 |
---|---|
제14차 중국여행 11/15일차 광원시 취운랑 (2019.4.14 일) (0) | 2019.05.01 |
제14차 중국여행 10/15일차 광원시 소화고성 (2019.4.13 토) (0) | 2019.05.01 |
제14차 중국여행 10/15일차 광원시 명월협 (2019.4.13 토) (0) | 2019.05.01 |
제14차 중국여행 10/15일차 광원시 천불애 (2019.4.13 토) (0) | 2019.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