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련진 이백고리에서 내려주고 버스는 앵하고 북쪽으로 간다.12시 59분
강유라는 도시로 갈 것이다.
이백고리는 그다지 찾는 이 많지 않다.
한산하게 노점 음식을 내놓는 젊은 부부가 있어 가다말고 멈췄다.
두화豆花라고 불리는 우리 나라 순두부같은 음식이다.10원
이백고리 패방
이백은 중앙아시아 파알카슈 호수 쇄엽성에서 태어났지만 5세에 아버지를 따라 촉에 들어와서 지금의 강유시인 면주 창융현에 정착하였다가 25세가 되면서 사천을 떠난다.
그래서 이곳이 이백고리라고 하는거다.
이백의 유명한 5언고시 靜夜思에 나오는 고향이 바로 여기일 것이다.
床前明月光
疑是地上霜
擧頭望明月
低頭思故鄕 고개숙여 고향을 그리워한다.
25세에 사천을 떠난 이백은 26세인 당나라 현종 개원 14년 (726년) 9월 15일 가을날에
강소성 양주 객사에서 이 시를 지었으니 추석무렵 떠나온 고향이 얼마나 그리웠을까?
이런 시인의 고향 풍광은 부드럽다.
산이 높지도 않고 너무 광할하지도 않다.
그러나 이곳은 사실 사적으로 남겨진 것은 거의 없고
새로 관광지로 꾸민 거다.
이백 고리에 왔다는 느낌만 갖고 건성건성 얼른 봐야하는 게 합리적이다.
李白虽然出生于中亚巴尔喀什湖畔的碎叶城,但他5岁就随父入蜀,定居在了绵州昌隆县青莲场(今天的江油),直到25岁时才离开四川。
이백고리 안내도
이백고리 풍경구에 들어오자 마자 왼쪽 언덕에 있는 농서원.
이백이 출생하고 거주한 곳으로 알려진 곳이다.
隴西농서 중국(中國) 진한 시대(時代)의 군(郡) 이름.
지금의 감숙성(甘肅省) 임조부에서 공창부의 서쪽에 걸친 곳으로 서역에 가까운 곳
隴고개 이름 롱,고개 이름 농
1. 고개의 이름 2. 땅의 이름 3. 산(山)의 이름 4. 두둑(논이나 밭을 갈아 골을 타서 만든 두두룩한 바닥)
5. 언덕 6. 사물(事物)의 형용(形容) 7. 섬서성(陝西省)의 딴 이름 8. 성(姓)의 하나
陇 [Lǒng] 隴
1. 룽산(隴山). [산시(陝西)성과 간쑤(甘肅)성의 경계에 있는 산 이름]
2. 지명 간쑤(甘肅)성의 다른 이름.
이 농서원은 1961년 사천성 중점문물보호단지가 되었다.
농서원에 들어가면 이백의 조상 가계를 알아 볼 수 있는데 문이 잠겨 있다.
아쉽게 밖에서만 사진을 남겼는데 나중에 다른 곳을 둘러보고 나오다가 개방되어 있는 찰라에 구경을 할 수 있었다.
농서원 앞에 있는 이백의 여동생 월원月圓 상
태백비림에서 태백루로 오르면서 왼쪽으로 월원 묘 이정표는 있어 일부러 찾았지만 찾을 수 없었다.
이백 살던 집
소년 시절
다섯 살에 육갑을 외고 열 살에 제자백가를 봤다는 총명한 아이였다.
독서하고 여유시간에는 검술을 좋아하였다.
李白自幼天资聪颖,"五岁诵六甲,十岁观百家","十五观奇书,作赋凌相如"。读书之余,还"好剑术","好入名山游"。
농풍당
농서 이씨
농서 이씨 유명인들
맨 왼쪽 서량西凉 무소왕武昭王 이호李暠
가운데 노자 도덕경 지은 이이李耳
오른쪽은 한나라 장군 이광李廣
暠 [gǎo] 분명하다. 똑똑하다. 희다.
暠 [hào] (☞皓)
暠 흴 고,흴 호
노자 도덕경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저 여자 아이는 이제 가이드로서 수습중이었다.
열심히 브리핑을 하는데 밖에서 기다리는 사람이 있어 편히 들을 수 없다고 양해를 구하였다.
위챗 아이디를 받았다.
농서 이씨 세계도
노자는 이백의 조상이라는 뜻?
이씨 정권
이세민 당 태종
이연 당 고종
이호 서량 태조
계자서 诫子书
나도 처음 보는 문헌이다.
바이뚜 검색하니 아래와 같이 제갈 량 작자인 계자서가 나온다.
위 사진은 뭐였더라? 내용이 전혀 다른데......
夫君子之行,静以修身,俭以养德。
非淡泊无以明志,非宁静无以致远。
夫学须静也,才须学也,非学无以广才,非志无以成学。
淫慢则不能励精,险躁则不能治性。
年与时驰,意与日去,遂成枯落,多不接世,悲守穷庐,将复何及!
태백비림
태백비림
이곳에서 가장 높은 곳 태백각이 멀리 보인다.
이곳 태백비림에서 태백루에 이르는 계단을 중심으로 이백의 시를 여기 저기 석각해두었다.
九日登巴陵置酒望洞庭水军
九日天气清, 登高无秋云。
造化辟川岳,了然楚汉分。
长风鼓横波,合沓蹙龙文。
忆昔传游豫,楼船壮横汾。
今兹讨鲸鲵,旌旆何缤纷。
白羽落酒樽,洞庭罗三军。
黄花不掇手,战鼓遥相闻。
剑舞转颓阳,当时日停曛。
酣歌激壮士,可以摧妖氛。
握齱东篱下,渊明不足群。
이백 나이 59세에 호남성 악양루가 있는 동정호에서 수군훈련하는 것을 보고 지은 시이다.
나도 악양루에 올라간 적 있다.
대붕정
이백의 시 상이옹上李邕에서 따온 정자 이름
大鹏一日同风起,扶摇直上九万里。
假令风歇时下来,犹能簸却沧溟水。
时人见我恒殊调,闻余大言皆冷笑。
宣父犹能畏后生,丈夫未可轻年少。
李邕(678—747):字泰和,广陵江都(今江苏江都县)人,唐代书法家、文学家。
대붕정 안 비석에는 사방으로 의미있는 석각이 하나 서 있다.
좀 유치하지만......
이백고리
구채문호
화하시성
촉도인후
태백루에서 바라본 대붕정
좌우 하얀 바위에 각각 대붕부와 대렵부가 적혀 있다.
대붕정에서 바라본 태백루
3층 33m
지진여파가 있어 아직도 수리중으로 들어갈 수 없었다.
침향정 근처에서 호젓하게 바라본 태백루
大獵賦
大猎赋并序
白以为:赋者,古诗之流。
辞欲壮丽,义归博远。不然,何以光赞盛美,感天动神?
而相如子云竞夸辞赋,历代以为文雄,莫敢诋讦。臣谓语其略,窃或褊其用心。
《子虚》所言,楚国不过千里,梦泽居其太半,而齐徒吞若八九,三农及禽兽无息肩之地,非诸侯禁淫述职之义也。
《上林》云:左苍梧,右西极。考其实,地周袤才经数百。《长杨》夸胡设网,为周阹,放糜鹿基中,以博攫充乐。
《羽猎》于灵台之囿,围经百里而开殿门。
当时以为穷壮极丽,迨今观之,何龌龊之甚也!但王者以四海为家,万姓为子,则天下之山林禽兽,岂与众庶异之?
而臣以为不能以大道匡君,示物周博,平文论苑之小,窃为微臣之不取也。
今圣朝园池遐荒,殚穷六合,以孟冬十月大猎于秦,亦将曜威讲武,扫天荡野,岂淫荒侈靡,非三驱之意耶?
臣白作颂,折中厥美。
其辞曰:
粤若皇唐之契天地而袭气母兮,粲五叶之葳蕤。
惟开元廓海宇而运斗极兮,总六圣之光熙。
诞金德之淳精兮,漱玉露之华滋。文章森乎七曜兮,制作参乎两仪,括众妙而为师。
明无幽而不烛兮,泽无远而不施。慕往昔之三驱兮,须生杀于四时。
若乃严冬惨切,寒气凛冽,不周来风,玄冥掌雪。
木脱叶,草解节,土囊烟阴,火井冰闭。是月也,天子处乎玄堂之中,餐八水兮休百工,考王制兮遵《国风》。
乐农人之闲隙兮,困校猎而讲戎。
乃使神兵出于九阙,天仗罗于四野。征水衡与林虞,辨土物之众寡。千骑飚扫,万里雷奔。
梢扶桑而拂火云兮,刮月窟而搜塞门。赫壮观于今古,嶪摇荡于乾坤。
此其大略也。而内以中华为天心,外以穷发为海口。
豁咽喉以洞开,吞荒裔以尽取。大章按步以来往,夸父振策而奔走。
足迹乎日月之所通,囊括乎阴阳之未有。
君王于是撞鸿钟,发銮音,出凤阙,开宸襟,驾玉辂之飞龙,历神州之层岑。
游五柞兮瞰三危,挟细柳兮过上林。攒高牙以总总兮,驻华盖之森森。于是擢倚天之剑,弯落月之弓。
昆仓叱兮可倒,宇宙噫兮增雄。
河汉为之却流,川岳为之生风。羽旄扬兮九天绛,猎火燃兮千山红。
乃召蚩尤之徒,聚长戟,罗广泽,河雨师走风伯。棱威耀乎雷霆,烜赫震于蛮貊。
陋梁都之体制,鄙灵囿之规格。而南以衡霍作襟,北以岱常作祛。夹东海而为堑兮,拖西冥而流渠。
麾九州之珍禽兮,回千群以坌入;联八荒之奇兽兮,屯万族而来居。
云罗高张,天网密布。罝罘绵原,峭格掩路。蠛蠓过而犹碍,蟭螟飞而不度。
彼层霄与殊榛,罕翔鸟与伏兔。从营合技,弥峦被岗。金戈森行,洗晴野之寒霜。
虹旗电掣,卷长空之飞雪。吴骖走练,宛马蝶血。萦众山之联绵,隔远水之明灭。
使五丁摧峰,一夫拔木。下整高颓,深平险谷。摆椿栝,开林丛。喤喤呷呷,尽奔突于场中。
而田强古冶之畴,乌获中黄之党,越峥嵘,猎莽仓。喑呼哮㘎,风旋电往。
脱文豹之皮,抵玄熊之掌。批狻手猱,挟三挈两。既徒搏以角力,又挥锋而争先。
行甝号以鹗睨兮,气赫火而敌烟。拳封貒,肘巨狿。枭羊应叱以毙踣,猰貐亡精而坠巅。
或碎脑以折脊,或歕髓以飞涎。穷遐荒,荡林薮,扼土狛,殪天狗。脱角犀项,探牙象口。
扫封狐于千里,捩雄虺之九首。咋腾蛇而仰吞,拖奔兕以却走。
君王于是蛾通天,靡星旃,奔雷车,挥电鞭,观壮士之效获,顾三军而欣然。
曰:夫何神狭鬼栗之骇人也!又命建夔鼓,励武卒。
虽躏跞之已多,犹拗怒而未歇。集赤羽兮照,张乌号兮满月。
戎车轞轞以陆离,彀骑煌煌而奋发。鹰犬之所腾捷,飞走之所蹉蹶。攫麏麚之咆哮,蹂豺貉以挂格。
膏锋染锷,填岩掩窟。观殊材举逸辟,尚挥霍以出没。
别有白猸、飞骏,穷奇、貙獌。牙若错剑,鬣如丛竿。口吞殳铤,目极枪橹。碎琅弧,攫玉弩,射猛彘,透奔虎。
金镞一发,旁叠四五。虽凿齿磨牙而致伉,谁谓南山白额之足睹?
总八校,搜四隅,驰专诸,走都卢。趫乔林,撇绝壁,抄獑猢,揽貊(豸+国)。
囚鼬鼯于峻崖,顿彀貜于穹石。养由发箭,奇肱飞车,巧聒更嬴,妙兼蒱且。
坠鸀鳿于青云,落鸿雁于紫虚。捎鸧鸹,漂鸬(渠+鸟),弹地卢与神居。
斩飞鹏于日域,摧大凤于天墟。龙伯钓其灵鳌,任公获其巨鱼。穷造化之谲诡,何神怪之有馀?
所以喷血流川,飞毛洒雪,状若乎高天雨兽,上坠于大荒;又似乎积禽为山,下崩于林穴。
阳乌沮色于朝日,阴兔丧精于明月。思腾装上猎于太清,所恨穹吴于路绝。
而忽也莫不海晏天空,万方来同。虽秦皇与汉武兮,复何足以争雄!
俄而君王茫然改容,愀然有失,于安思危,防险戒逸,斯驰骋以狂发,非至理之弘术。
且夫人君以端拱为尊,玄妙为宝。暴殄天物,是谓不道。
乃命去三面之网,示六合之仁。已杀者皆其犯命,未伤者全其天真。虽剪毛而不献,岂割鲜以悴轮。
解凤皇与鸑鷟兮,旋驺虞与麒麟。获天宝于陈仓,载非熊于渭滨。
于是享猎徒,封劳苦。轩行庖,骑酌酤。韬兵戈,火网罟。
然后登九霄之台,宴八紘之圃。开日月之扃,辟生灵之户。
圣人作而万物睹,览蒐敖与狩岐,何宣成之足数?哂穆王之荒诞,歌白云之西母。
曷若饱人以淡泊之味,醉时以淳和之觞,鼓之以雷霆,舞之以阴阳。
虞乎神明,狃于道德。张无外以为罝,琢大朴以为杙。顿天网以掩之,猎贤俊以御极。
若此之狩,罔有不克。使天人宴安,草木蕃植。六宫斥其珠玉,百姓乐于耕织。
寝郑卫之声,却靡曼之色。天老掌图,风后侍侧。是三阶砥平,而皇猷允塞。
岂比夫《子虚》、《上林》、《长扬》《羽猎》,计麋鹿之多少,夸苑囿之大小哉!
方将延荣光于后昆,轶玄风于邃古,拥嘉瑞,臻元符,登封于太山,篆德于社首。
岂与乎七十二帝同条而共贯哉?君王于是回霓旌,反銮舆。
访广成于至道,问大块之幽居。使罔象掇玄珠于赤水,天下不知其所如也。
** 公元735年,玄宗又有一次狩猎,正好李白也在西游,因上《大猎赋》,希望能博得玄宗的赏识。
대붕부
大鵬賦(并序)
余昔于江陵,见天台司马子微,谓余有仙风道骨,可与神游八极之表。
因著大鹏遇希有鸟赋以自广。此赋已传于世,往往人间见之。
悔其少作,未穷宏达之旨,中年弃之。及读晋书,睹阮宣子大鹏赞,鄙心陋之。
遂更记忆,多将旧本不同。今复存手集,岂敢传诸作者?庶可示之子弟而已。
其辞曰:
南华老仙,发天机于漆园。吐峥嵘之高论,开浩荡之奇言。徵至怪于齐谐,谈北溟之有鱼。
吾不知其几千里,其名曰鲲。化成大鹏,质凝胚浑。脱鬐鬣于海岛,张羽毛于天门。
刷渤澥之春流,晞扶桑之朝暾。燀赫乎宇宙,凭陵乎昆仑。
一鼓一舞,烟朦沙昏。五岳为之震荡,百川为之崩奔。
尔乃蹶厚地,揭太清。亘层霄,突重溟。激三千以崛起,向九万而迅征。
背嶪太山之崔嵬,翼举长云之纵横。左回右旋,倏阴忽明。历汗漫以夭矫,羾阊阖之峥嵘。
簸鸿蒙,扇雷霆。斗转而天动,山摇而海倾。怒无所搏,雄无所争。固可想象其势,仿佛其形。
若乃足萦虹蜺,目耀日月。连轩沓拖,挥霍翕忽。喷气则六合生云,洒毛则千里飞雪。
邈彼北荒,将穷南图。运逸翰以傍击,鼓奔飙而长驱。烛龙衔光以照物,列缺施鞭而启途。块视三山,杯观五湖。
其动也神应,其行也道俱。任公见之而罢钓,有穷不敢以弯弧。莫不投竿失镞,仰之长吁。
尔其雄姿壮观,坱轧河汉。上摩苍苍,下覆漫漫。盘古开天而直视,羲和倚日以旁叹。
缤纷乎八荒之间,掩映乎四海之半。当胸臆之掩昼,若混茫之未判。忽腾覆以回转,则霞廓而雾散。
然后六月一息,至于海湄。欻翳景以横翥,逆高天而下垂。憩乎泱漭之野,入乎汪湟之池。
猛势所射,馀风所吹。溟涨沸渭,岩峦纷披。天吴为之怵栗,海若为之躨跜。
巨鳌冠山而却走,长鲸腾海而下驰。缩壳挫鬣,莫之敢窥。吾亦不测其神怪之若此,盖乃造化之所为。
岂比夫蓬莱之黄鹄,夸金衣与菊裳?耻苍梧之玄凤,耀彩质与锦章。既服御于灵仙,久驯扰于池隍。精卫殷勤于衔木,鶢鶋悲愁乎荐觞。天鸡警晓于蟠桃,踆乌晰耀于太阳。不旷荡而纵适,何拘挛而守常?
未若兹鹏之逍遥,无厥类乎比方。不矜大而暴猛,每顺时而行藏。参玄根以比寿,饮元气以充肠。
戏旸谷而徘徊,冯炎洲而抑扬。
俄而希有鸟见谓之曰:伟哉鹏乎,此之乐也。吾右翼掩乎西极,左翼蔽乎东荒。
跨蹑地络,周旋天纲。以恍惚为巢,以虚无为场。我呼尔游,尔同我翔。于是乎大鹏许之,欣然相随。
此二禽已登于寥廓,而斥鷃之辈,空见笑于藩篱。
** 《大鵬赋》是李白早年曾遇到高道司马承祯,他说李白有仙风道骨。李白受宠若惊,于是写下《大鹏遇希有鸟赋》。过后,他觉得此赋不够理想,便记忆旧作,扩充新意,写成这篇《大鹏赋》。
찍혔으니 이이를 남겨둔다.
이이가 누구인지 모르지만
(천진 이홍해李洪海 글씨)
億東山二首
不向东山久,蔷薇几度花。
白云还自散,明月落谁家。
我今携谢妓,长啸绝人群。
欲报东山客,开关扫白云。
큰 바위에 흘림 글씨로 작품을 자랑하고 있다.
모택동이 글씨로 쓴 장진주將進酒
将进酒
君不见,黄河之水天上来,奔流到海不复回。
君不见,高堂明镜悲白发,朝如青丝暮成雪。
人生得意须尽欢,莫使金樽空对月。
天生我材必有用,千金散尽还复来。
烹羊宰牛且为乐,会须一饮三百杯。
岑夫子,丹丘生,将进酒,杯莫停。
与君歌一曲,请君为我倾耳听。
钟鼓馔玉不足贵,但愿长醉不复醒。
古来圣贤皆寂寞,惟有饮者留其名。
陈王昔时宴平乐,斗酒十千恣欢谑。
主人何为言少钱,径须沽取对君酌。
五花马,千金裘,呼儿将出换美酒,与尔同销万古愁。
명나라 서위徐渭 글씨로 쓴 몽유천모음유별梦游天姥吟留别
海客谈瀛洲,烟涛微茫信难求。
越人语天姥,云霞明灭或可睹。
天姥连天向天横,势拔五岳掩赤城。
天台四万八千丈,对此欲倒东南倾。
我欲因之梦吴越,一夜飞度镜湖月。
湖月照我影,送我至剡溪。
谢公宿处今尚在,渌水荡漾清猿啼。
脚著谢公屐,身登青云梯。
半壁见海日,空中闻天鸡。
千岩万转路不定,迷花倚石忽已暝。
熊咆龙吟殷岩泉,栗深林兮惊层巅。
云青青兮欲雨,水澹澹兮生烟。
列缺霹雳,丘峦崩摧。
洞天石扉,訇然中开。
青冥浩荡不见底,日月照耀金银台。
霓为衣兮风为马,云之君兮纷纷而来下。
虎鼓瑟兮鸾回车,仙之人兮列如麻。
忽魂悸以魄动,恍惊起而长嗟。
惟觉时之枕席,失向来之烟霞。
世间行乐亦如此,古来万事东流水。
别君去兮何时还?
且放白鹿青崖间,须行即骑访名山。
安能摧眉折腰事权贵,使我不得开心颜!
徐渭(1521年3月12日-1593年),汉族,绍兴府山阴(今浙江绍兴)人。
初字文清,后改字文长,号青藤老人、青藤道士、天池生、天池山人、天池渔隐、金垒、 金回山人、山阴布衣、白鹇山人、鹅鼻山侬、田丹水、田水月(一作水田月)。明代著名文学家、书画家、戏曲家、军事家。
姥 [mǔ] 노부인. 연로한 부인.
姥 [lǎo] (→姥鲨, 姥姥)
姥할머니 모,외조모 로,외조모 노
1. 할머니 2. 늙은 여자(女子) 3. 늙은 어머니 4. 아내 5. 유모(乳母) 6. 조산원 7. 성(姓)의 하나 a. 외조모 (로)
요월대
달맞이 하는 이백 옆에서 내 초상도 하나 남기련만 무슨 생각이었는지
내 초상을 남겨 뭣하냐는 심뽀가 생겨 이곳 이백고리에서는 아무 사진을 남기지 못했다.
이백,자유로운 영혼인듯하지만 황제 옆에서 총애를 받기도 하였다.
나도 역시 그렇다.
자유를 갈망하지만 물욕에서 벗어날 수는 없다.
요월대에서 멀지 않은 곳에 고속기차역이 있는데 청련역이다.
침향정沉香亭이란 이름의 정자
당 종과 양귀비가 침향정에서 놀고 있을 때 이백을 불러 같이 마시고 이백은 시 세 수를 지어 바쳤다.
其一
云想衣裳花想容,春风拂槛露华浓。
若非群玉山头见,会向瑶台月下逢。
其二
一枝红艳露凝香,云雨巫山枉断肠。
借问汉宫谁得似,可怜飞燕倚新妆。
其三
名花倾国两相欢,长得君王带笑看。
解释春风无限恨,沉香亭北倚阑干。
据晚唐五代人的记载,这三首诗是李白在长安供奉翰林时所作。唐玄宗天宝二年(743年)或天宝三年(744年)春天的一日,唐玄宗和杨妃在宫中在沉香亭观赏牡丹花,伶人们正准备表演歌舞以助兴。唐玄宗却说:“赏名花,对妃子,岂可用旧日乐词。”因急召翰林待诏李白进宫写新乐章。李白奉诏进宫,即在金花笺上作了这三首诗。
아래 두 서예 작품은 침향정 기념품점에서 촬영한 것이다.
아주머니들과 수다 좀 떨었다.
魁星点斗
魁星神像头部像鬼, 一脚向后翘起,如“魁”字的大弯钩;一手捧斗,如“魁”字中间的“斗”字;一手执笔,
意寓用笔点定中试人的姓名。
魁星点斗的吉祥图案和读书人信奉魁星的风俗早在宋代就有,而在明、清大为流行。
醉 할 취
이백고리 패방이 있는 금준광장에 오니
금방 버스가 온다.강유시로 간다.
15시 05분
미니버스이다.
버스 기사 옆에 앉아서 작은 도시를 구경하면서 강유역으로 가려면 어디서 하차하는지를 물었다.
자기가 내려주는 곳에서 8번 버스를 타라는 것이다.
금방 강유시내로 접어들고......
내리라 한다.몇 마디 더 확인하고 내리는데 세상에나 기사님이 막 출발하려던 8번 버스 앞에 멈춘다.
어서 타라는 뜻인데 그걸 못알아차리고 어벙어벙하는 새에 8번 버스는 떠나버렸다.
삼륜차를 탔다.15원
15시 28분
삼륜차 기사는 아주머니인데 내가 예약한 기차 시간에 닿을 수 있을지 걱정이었다.
내심으로는 라리 택시를 탈 걸 후회하였지만 곧이어 강유역에 내려준다.
15시 45분
강유역에 도착하니 시간이 많다.무척 역사가 크다.
애초 예약한 차를 좀 땡겼다.
점심인듯 저녁인듯 또 요기를 했다.
계란빵 6원
17시 35분 덕양으로 기차 출발
기차에서 젊은 녀석이 주역을 읽고 있다.말을 붙였다.
성도예술학교 1년생이다.
미술 전공
위챗 교환하였다.여행 마치고 한국에 돌아왔을 때 자기 그림을 보내주기도 하였다.
18시 32분 덕양역에 도착하였다.
좀 지치신듯하여 택시를 잡아 외국인 숙박되는 좋은 호텔로 가자고 했다.16원
강변 따라 달리는데 덕양석각,문묘,극문 이정표를 보았다.
덕양시 정호旌湖빈관 333원이다.
근처에 덕양시 인민정부도 있고 시내 중심인듯하다.
저녁밥을 먹으러 나왔다.
먹자골목 안에 있는 음식점인데 그냥 서민음식을 먹었다.
은이탕銀耳湯(흰 목이버섯 스프) 3원
저녁밥 28원
술을 팔지 않는 분식집 수준이라 아주머니가 맥주심부름하여 10원을 받는다.
젊은 남자 주인이 기타를 친다.
호텔로 가는 길에 바나나 6.5원,귤 16원어치 샀다.
<작성일 2019.6.27 목 23시 25분>
'중국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4차 중국여행 13/15일차 덕양시 백마관 방통사 (2019.4.16 화) (0) | 2019.05.01 |
---|---|
제14차 중국여행 13/15일차 덕양시 덕양문묘 (2019.4.16 화) (0) | 2019.05.01 |
제14차 중국여행 12/15일차 면양시 서산공원 (2019.4.15 월) (0) | 2019.05.01 |
제14차 중국여행 12/15일차 면양시 월왕루 (2019.4.15 월) (0) | 2019.05.01 |
제14차 중국여행 12/15일차 면양시 부락산공원 (2019.4.15 월) (0) | 2019.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