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여행 14일째,
내일이면 다시 한국으로 가는 날이고
이곳 성도 여행에 시간을 너무 짧게 할애하여 볼 곳은 많은데
마음은 급하다.
오늘 첫 목적지는 성도 두보초당이다.
당나라 때 시인으로 시성이라고 불리는 그 두보가 한때 성도에 머문 적이 있다.
그 머문 초당이 잘 꾸며져 있다.
서포진犀浦鎭에 있는 호텔에서 조반을 중국인들 틈에 섞에서 먹고
아주머니가 호객하는 삼륜차에 탔다.
"서포전철역으로 가 주세요"
8시 43분,
6원
거리는 한산하다.
삼륜차가 갑자기 골목을 삥삥 돈다.
공안을 피하기 위함이라는 눈치가 있다.
중국에서도 이런 무면허 운수 종사자 단속이 있나보다.
좀 걸어서 가도 돼니 편한 곳에 내려달라 했다.
골목 안에 차를 세운다.
고마워한다.
서포역은 성도 시내로 들어가는 전철의 시발역이다.
팽주시나 도강언시 등 성도 서북부로 통하는 교통 요지인듯하다.
15km 달려서
성도시내 중의대성의원中醫大省醫院에 하차
10시 18분
전철에 내려 지상으로 나왔다.
두보초당으로 가는 버스를 쉽게 탈 수 있을것만같았지만,
또는 마음의 여유만 있다만 걸어도 좋으련만
실상은 도로가 너무 넓고 동서남북 분간이 어려워 버스 승강장 찾기도 힘들었다.
시간은 흘러만 가는데......
흘러가는 시간은 붙잡을 수 없지만
얼른 택시를 붙잡으신다.
10시 26분
중국어도 못하지만 똘발지시다.ㅋㅋ
한 십 여 분 달려서 두보초당 남문에 내려주신다.
10시 18분
10원
남문으로 들어가서 북분쪽으로 갔다가
다시 남문으로 나오는 동선으로 구경하였다.
위 동선을 따랐으면 좋았을 것을......
아래 사진은 위 동선에 따라 배치해야겠다.
두보초당 남문
남문에 들어서 쭈욱 순방향으로 북향하면 전시실 및 교육 공간이 나오고
남문에 들어서 바로 왼쪽으로 틀어서 좀 걸으면 "정문"이 나오고 거기서 부터
다시 오른쪽으로 즉,북으로 향하면서 두보의 옛 자취를 더듬으며 구경할 수 있다.
成都杜甫草堂博物馆在宋元明清历代都有修葺扩建,已演变成一处集纪念祠堂格局和诗人旧居风貌为一体,建筑古朴典雅、园林清幽秀丽的著名文化圣地。草堂完整保留着清代嘉庆重建时的格局,总面积近300亩。园林是非常独特的“混合式”中国古典园林。
博物馆按功能区分为:文物景点游览区(草堂旧址)、园林景点游览区(梅园)和服务区(草堂寺)。草堂旧址内,照壁、正门、大廨、诗史堂、柴门、工部祠排列在一条中轴线上,两旁配以对称的回廊与其它附属建筑,其间有流水萦回,小桥勾连,竹树掩映,显得既庄严肃穆、古朴典雅而又幽深静谧、秀丽清朗。工部祠东侧是“少陵草堂”碑亭,象征着杜甫的茅屋,已成为杜甫草堂的标志性景点和成都的著名景观。
두보는 한 때 이곳에서 4년여를 머물면서 240여 수의 시가 창작을 하였다.
두보는 759년 겨울 안사의 난을 피해 가족을 이끌고 감숙성으로 갔다가 이곳으로 흘러와서 살았다.
成都杜甫草堂博物馆位于四川省成都市青羊区青华路37号,是中国唐代大诗人杜甫流寓成都时的故居。杜甫先后在此居住近四年,创作诗歌240余首。唐末诗人韦庄寻得草堂遗址,重结茅屋,使之得以保存,宋元明清历代都有修葺扩建。
草堂占地面积近300亩,完整保留着明弘治十三年(公元1500年)和清嘉庆十六年(公元1811年)修葺扩建时的建筑格局,建筑古朴典雅、园林清幽秀丽,是中国文学史上的一块圣地。1955年成立杜甫纪念馆,1985年更名为成都杜甫草堂博物馆。
博物馆是首批全国重点文物保护单位,首批国家一级博物馆,全国古籍重点保护单位,国家AAAA级旅游景区,是中国规模最大、保存最完好、知名度最高且最具特色的杜甫行踪遗迹地,年游客量达百万余人次。
2018年10月11日,入选“全国中小学生研学实践教育基地”名单。
公元759年冬天,杜甫为避 “安史之乱”,携家带口由陇右 (今甘肃省南部)入蜀辗转来到成都。
公元760年春,在友人的帮助下,在成都西郊风景如画的浣花溪畔修建茅屋居住。
公元761年春天,茅屋落成,称 “成都草堂”。他的诗“万里桥西一草堂,百花潭水即沧浪”(《狂夫》)中提到的便是成都草堂。他在这里先后居住了将近四年,因曾被授“检校工部员外郎”之衔,而又被称做杜工部。
衔 1 [xián] 御 啣 銜 (군사·행정·과학 연구·교육 분야 종사자의) 직함. 직위. 계급. 등급. 호칭. 칭호.
머금다. 입에 물다.
2. 마음에 품다. 마음에 두다. 마음속 깊이 간직하다.
3. (명령 따위를) 받다. 받들다. 따르다. 받아들이다.
衔 재갈 함
1. 재갈(말을 부리기 위하여 아가리에 가로 물리는 가느다란 막대)
2. 직함 3. 관 4. 머금다 5. 입에 물다 6. 마음에 품다 7. 느끼다 8. 원망하다(怨望--) 9. 받들다
765年,严武病逝,失去唯一依靠的杜甫只得携家带口告别成都,两年后经三峡流落荆、湘等地。
杜甫离开成都后,草堂便倾毁不存。
唐朝大历年间(766年11月-779年12月),草堂的大部分被时任四川节度使崔宁的小妾(浣花夫人)任氏族据为私宅。
据为己有 [jùwéijǐyǒu] [성어] 자기의 소유로 만들다. 남의 것을 강점하다. 남의 것을 강제로 차지하다.
五代前蜀时,诗人韦庄寻得草堂遗址,重结茅屋,意在“思其人而成其处”, 使之得以保存。
宋代又重建,并绘杜甫像于壁间,始成祠宇。
此后草堂屡兴屡废,其中最大的两次重修,明弘治十三年(1500)和清嘉庆十六年(1811),基本上奠定了今日草堂的规模和布局。
明末,张献忠农民起义军入川,草堂毁于兵火。
清代,康熙、雍正、乾隆、嘉庆朝均对成都草堂进行了重建和修缮。
民国后期,地方军阀混战,草堂成为军队马厩和伤病者医疗的病院,这段时期对杜甫草堂的破坏很大,祠宇门窗、亭台水榭均被拆毁,所悬挂楹联匾额损失殆尽,多被官兵取下当柴禾烧了;工部祠内的杜甫塑像遭到风吹雨淋,不得已,草堂寺的僧人给雕像戴上斗笠。
1952年,杜甫草堂又经全面整修后,正式对外开放。
2005년 중수하였다.
문물가치 文物价值
成都杜甫草堂博物馆内珍藏有各类资料3万余册,文物2000余件。
包括宋、元、明、清历代杜诗精刻本、影印本、手抄本以及近代的各种铅印本,还有15种文字的外译本和朝鲜、日本出版的汉刻本120多种,是有关杜甫平生创作馆藏最丰富、保存最完好的地方。杜甫草堂收藏的“杜甫诗意画”在中国画坛成为一个专题画类,全国各大博物馆多有收藏。现代大家齐白石、徐悲鸿、傅抱石、潘天寿、刘海粟、吴作人、李苦禅、王雪涛等也多以杜诗画意为题材创作出风格各异的精品。
成都杜甫草堂因诗名扬天下,借诗圣而后世流芳。
2001年,成都杜甫草堂博物馆在铺设地下管道施工中,分别在草堂正门西侧和工部祠东北面发现唐代灰炕和唐代民居遗址,出土了大量陶瓷器皿,建筑构件以及墙基、水井、水沟、灶台等民居遗存。它们的年代与杜甫在成都生活的时期很接近。杜甫草堂唐代遗址是成都平原最重要的唐代文化遗存之一,它展现了唐代成都地区的社会生活风貌,印证了杜甫对其居住环境及其生活情景的描写,为杜甫草堂的历史沿革提供了实物佐证。
정문에서 자그마한 시내를 건너
시문으로 들어선다.
시문柴門 ; 사립문. 사립짝을 달아서 만든 문(門)
애초 두보 머물던 초당의 정문이었다는데 정말 이 모습이었는지는 알 수 없다.
청나라 때 기본 골격을 이렇게 복원하였던 것이다.
한자 발음이 시문으로 해야할듯한데 안내문에는 자문으로 되어 있다.
柴门是中轴线上的第四重建筑,也是最小、最简朴的建筑。
它原本是杜甫营建草堂时所造的院门。因为低矮简陋,诗人作了如此命名。
门上匾额“柴门”二字是著名画家潘天寿所书。
柴 [chái] 이체 㾹
1. 장작. 땔감. 마른나무. 2. 성(姓).
3. (방언) 여위다. 바싹 마르다. 수분과 지방이 적다. (야채나 고기에 섬유질이 많아) 딱딱하다[씹기 어렵다]. (무·...
柴 섶 시,울짱 채,가지런하지 않을 치,쌓을 자
1. 섶(땔나무를 통틀어 이르는 말) 2. 시제사(柴祭祀: 섶을 불살라 하늘에 지내는 제사) 3. 제사(祭祀)의 이름
4. 막다, 수비하다 5. 지키다 6. (시제사를)지내다 7. 거칠다 a. 울짱 (채) b. 목책(木柵)...
偨 가지런하지 않을 차,가지런하지 않을 치
喍 개 싸움할 재,개 싸움할 채
䓱 시호 시,나무버섯 추
㾹 여윌 사
공부사工部祠
두보 상을 모시고 제사하는 공간이다.
두보가 일찌기 검교공부원외랑檢校工部院外郞이라는 벼슬을 하였기에 두공부라고 칭하고
사당을 공부사라고 한다.
공부사 안에 있는 두보 상
좌우에 송나라 시인 황정견과 육유의 상도 있는데 헐고 탈락하고 있었다.
荒江结屋公千古,异代升堂宋两贤
공부사 안내문
因杜甫曾作为节度参谋检校工部员工郎, 故称杜工部,祠由此得名。
祠堂一屋三楹,封山亮柱,高台石阶,花窗格门,肃穆庄重。
祠内有明、清两代石刻杜甫像,其中明万历三十年(1602)石刻杜甫半身像是草堂遗存最早的石刻像。
宋代诗人黄作上都推崇杜甫,以杜诗为宗,所以清代将黄庭坚、陆游配祀于杜甫像两侧,故又称三贤堂。
堂中有“荒江结屋公千古,异代升堂宋两贤”的联语。
壁间还嵌有清乾隆、嘉庆年间石刻“少陵草堂图”,刻工精细,解放后即是据此图恢复草堂旧貌。
공부사 안에는 석각 두보 상과 석각 초당도가 귀하게 있다는데
아래 두 사진인지 잘 모르겠다.
현장에서는 그저 지나쳤던듯하다.
석각 두보 상
청 소릉 초당도 석각 清少陵草堂图刻石
소릉초당小陵草堂이라고 적혀있는 소릉비정少陵碑亭
공부사 뒤로 동쪽으로 살짝 떨어진 곳에 있다.
두보초당을 대표하는 곳이라 하는데 현장에서 내 동산은 그냥 지나쳤던듯하다.
소릉초당少陵草堂
강희제 17子 과친왕이 글을 썼다.
少陵碑亭是杜甫草堂最具代表性的建筑之一,它是一座以茅草作顶的亭子,内树有一石碑,镌刻“少陵草堂”四个大字,笔力浑厚,笔姿秀润,是果亲王允礼所书。雍正十二年(公元1734年)果亲王送达赖进藏,经过成都,特拜谒草堂,留下此手迹。此景点是我馆最具代表性的景点之一,人们常常将其作为茅屋的象征。
镌刻[juānkè]1.파다. 새기다. 깎다. 조각하다
镌 새길 전 1. 새기다 2. 조각하다(彫刻ㆍ雕刻--) 3. 깎다 4. 파다, 뚫다 5. 베다 6. 타이르다 7. 강등시키다(降等---)
8. 내치다, 폄출하다(貶黜--: 남의 인망을 깎아내려 배척하다) 9. 송곳 10. 끌(나무에 구멍을...
果亲王允 : 爱新觉罗·胤礼 (康熙帝第十七子)
爱新觉罗·允礼(1697年—1738年),原名爱新觉罗·胤礼,满洲正红旗人,清康熙帝第十七子,雍正帝异母弟,母纯裕勤妃。生于康熙三十六年(1697年),卒于乾隆三年(1738)。其初行次为第二十七。
모옥茅屋
杜甫草堂博物馆依据杜诗描写和明代格局于1997年恢复重建了“茅屋景区”,重现了诗人故居的田园风貌,营造出浓厚的诗意氛围。
두시에서 묘사한 것과 명나라 때 자료를 근거로 하여
1997년에 두보의 초당을 재현하였다고 한다.
초당을 보면서 내 귀거래사를 꿈꿔본다.
난 어떻게 지을 것인가?
응접실 대나무 평상
서재
《茅屋为秋风所破歌》
八月秋高风怒号,卷我屋上三重茅。
茅飞渡江洒江郊,高者挂罥长林梢,
下者飘转沉塘坳。南村群童欺我老无力,
忍能对面为盗贼。公然抱茅入竹去,
唇焦口燥呼不得,归来倚杖自叹息。
俄顷风定云墨色,秋天漠漠向昏黑。
布衾多年冷似铁,娇儿恶卧踏里裂。
床头屋漏无干处,雨脚如麻未断绝。
自经丧乱少睡眠,长夜沾湿何由彻⒂!
安得广厦千万间,大庇天下寒士俱欢颜,
风雨不动安如山。呜呼!何时眼前突兀见此屋,
吾庐独破受冻死亦足!
《茅屋为秋风所破歌》是唐代伟大诗人杜甫旅居四川成都草堂期间创作的一首歌行体古诗。此诗叙述作者的茅屋被秋风所破以致全家遭雨淋的痛苦经历,抒发了自己内心的感慨,体现了诗人忧国忧民的崇高思想境界,是杜诗中的典范之作。
八月里秋深,狂风怒号,狂风卷走了我屋顶上好几层茅草。茅草乱飞,渡过浣花溪,散落在对岸江边。飞得高的茅草缠绕在高高的树梢上,飞得低的飘飘洒洒沉落到池塘和洼地里。
南村的一群儿童欺负我年老没力气,竟忍心这样当面做“贼”抢东西,毫无顾忌地抱着茅草跑进竹林去了。我嘴唇干燥也喝止不住,回来后拄着拐杖,独自叹息。
一会儿风停了,天空中乌云像墨一样黑,深秋天空阴沉迷蒙渐渐黑下来了。布被盖了多年,又冷又硬,像铁板似的。孩子睡觉姿势不好,把被子蹬破了。一下雨屋顶漏水,屋内没有一点儿干燥的地方,房顶的雨水像麻线一样不停地往下漏。自从安史之乱之后,我睡眠的时间很少,长夜漫漫,屋漏床湿,怎能挨到天亮。
如何能得到千万间宽敞高大的房子,普遍地庇覆天下间贫寒的读书人,让他们开颜欢笑,房子在风雨中也不为所动,安稳得像是山一样?唉!什么时候眼前出现这样高耸的房屋,到那时即使我的茅屋被秋风所吹破,我自己受冻而死也心甘情愿
초당 북쪽 이웃집
복원한 초당 북쪽 이웃집
지금은 기념품 및 차를 파는 곳이다.
모옥에서 서북쪽으로 멀리 바라본 일람정一览亭
4층 벽돌탑 일람정
고풍스럽다.
탑명 일람정은 두보의 시 《망악望岳》에서 '일람하니 온통 산들이 작아보인다'라는 구절에서 따왔다.
塔名“一览亭”,取杜甫《望岳》诗“一览众山小”的句意。塔影倒映水面,与曲桥形成绝妙的呼应,而月洞门则成了取景框,在它恰到好处的取裁下,塔、桥、湖、花、树,浑然构成一幅精美的画面。
목각랑 정원이 잘 다듬어져 있고
노인은 한가로히 기공하고 있다.
탁본하고 있는 젊은이들
희우정
그 유명한 "춘야희우"라는 시......
호우지시절하니 당춘내발생이라.
이제는 잘 외워지지 않는다.
위 희우정 정자 이름을 이 시에서 따왔을 것이다.
두보 손짓한다.
두보 선생!
반갑소~~
화경花径 꽃길
초당草堂 영벽影壁
1958년 모택동 주석이 시찰할 때 이곳에서 "초당草堂" 두 글자를 오랫동안 응시하여
사람들이 관심을 갖게 되어 명소가 되었다고 한다.
여행할 당시에는 이걸 주목하지 않고 지나갔었다.
当年杜甫的茅屋前,有一条两旁栽满花木的小径,
他在诗中曾写到:“花径不曾缘客扫,蓬门今始为君开”。
今天的花径,是连接杜甫草堂纪念建筑群与原草堂寺的一条红墙夹道小径,花径尽头是“草堂影壁”,清末四川劝业道道尹周善培用青花碎瓷镶嵌的“草堂”二字于此,数度毁损又几经修复。
镶嵌[xiāngqiàn]1.끼워 넣다. 박아 넣다. 상감하다.
1958年毛主席视察草堂时,曾对着这两个字久久凝视。
作为草堂标志之一,来往游人多在这里摄影留念。
대아당大雅堂
이 글씨는 안진경 집자이다.
12명의 조각상이 있다는데 현장에서는 별 관심 갖지 않았다.
두보 상
大雅堂原是草堂寺的大雄宝殿,2002年正式开放。
门上匾额“大雅堂”三个字是集的唐代著名书法家颜真卿的字。
大雅堂内陈列着迄今为止国内最大面积的大型彩釉镶嵌磨漆壁画和12尊历代著名诗人雕塑,形象地展示了杜甫生平和中国古典诗歌的发展史。馆内的基本陈列《诗圣著千秋》,获第五届“全国十大陈列展览精品”最佳创意奖。
아래는 기념관에 있는 기록사진들
북조선과 남한에 대한 중국 정치인들의 거리감이 반영되고 있는듯하다.
1982년 김일성과 등소평
2000년 10월 대한민국 대통령 두 분
만불루万佛楼
초당 동쪽 녹나무 숲에 있는 만불루는 2005년에 중건되었다.
예로부터 성도 동쪽에 숭려각 서쪽에 만불루라고 했다는데
숭려각은 이따 구경할 망강루 공원에 있다.
2005年重建的万佛楼矗立于草堂东面楠木林中,它复原了历史文化名城成都“东有崇丽阁,西有万佛楼”之风貌。
凭栏远眺,美景尽收眼底,是杜甫草堂又一标志性建筑和文化旅游新亮点。
矗 [chù] 1. 높이 솟다. 우뚝 서다. 2. 초목이 무성하다.
누각으로 헐떡거려 올라갔더니
맨 위에 걸려 있다.
만불루에서 두보초당을 내려본다.
복원된 문화유적지에서 애써 시성의 유랑을 느꼈던 길이다.
만불루 높은 누각에서 두보초당을 일람하는 걸로 마무리한다.
아~ 좋다.
바빠도 좋다.
두보초당 남문으로 나와서 좀 앉았다가 사천박물관,청양궁 방향으로 걸었다.
청양궁은 그냥 넘기기로 했고
사천박물관이 은근 괜찮다는 기사가 있어 살짝만 들러 보기로 한다.
사천박물관은 무료입장이다.
사천박물관 나와서 두보초당 북문으로 걸어 가서 무후사로 가는 순환버스를 타기로 했다.
무후사는 유비와 제갈양이 모셔진 사당이다.
무후사까지 직선거리로 2km이다.
무후사 입장권을 포함하여 순환버스 가격이 53원이다.
순환버스 출발을 기다리는 동안 빵을 사와서 먹었다.5원
두보초당에서 오후 1사 33분에 출발하여 무후사에는 56분에 도착하였다.
<작성일 2019.7.18 목>
사천박물관
박물관은 학구적으로 여유있을 때 보는거라 지나치려다 여기까지 와서 그냥 지나칠 수 없다는 생각이 교차하여
잠시 머물렀다.
지역 박물관으로서 알뜰살뜰 잘 구성되어 있다는 생각은 든다.
1941년 사천박물원으로 개원했다가 2009년 건물을 새로 짓고 사천박물관으로 개칭하였다.
아래 자료들은 내가 다시 관심을 갖게 될 때 또는 이 글을 보는 독자들에게 혹시 필요할 수도 있어
수집한 것을 공개해둔다.
四川博物院始建于1941年,位于四川省成都市浣花溪历史文化风景区,是西南地区最大的综合性博物馆,在全国公共博物馆中占有重要地位。 2009年,随着新馆落成,由四川博物馆改称现名。
四川博物院现有院藏文物26万余件,其中珍贵文物5万余件。
四川博物院拥有专职、兼职研究员30余人,先后研究出版了《四川博物院藏〈格萨尔〉唐卡研究》
《四川出土南朝佛教造像研究》《馆藏书画精品集》等学术著作。
2011年,“四川博物院修复能力提升”项目,被国家文物局确立为全国两个试点项目之一,
2012年10月,被评为国家一级博物馆。
2017年,四川博物院获得全国最具创新力博物馆。第一批全国中小学生研学实践教育基地。
格萨尔 [Gésà'ěr] Gesar 게사르 게세르
북방 아시아 초원의 영웅 게세르 칸의 대서사시
[ Geser(Epic of King Gesar), 게세르(Ge-sar rGyal-po), Гэсэр Хаан ]
요약동북아시아 초원의 영웅 게세르 칸 이야기는 티베트 민족과 몽골 민족 사이에서 특히 영웅서사시로 널리 전해오는데, 거친 자연 환경 속에서도 굽힐 줄 모르고 살아가는 유목 민족의 활달한 기상을 잘 반영하고 있다.
唐卡 [tángkǎ] 탕카. 두루마리 그림.<GRM>[장족(藏族)의 특수한 그림으로, 불경 이야기나 장의약(藏醫藥) 지식 등을 내용으로 함]
卡 (지킬 잡, 음역자 가) 1. 지키다 2. 꼭 끼이다, 틈에 박히거나 꽂히다 3. 기침을 하다 4. 관문(關門) 5. 길이 험(險)한 곳 a. 음역자(音譯字) (가) b. 카드(card) (가) c. 자동차(car) (가) d. 칼로리(calorie) (가)
2009年,四川博物院新馆落成于成都市浣花溪历史文化风景区。新馆占地88余亩,投资约3亿多人民币,总面积12000平方米,主体建筑达32026平方米,规模是原馆的4倍,展厅数量达14个,展厅面积约12635平方米,包含书画、陶瓷、青铜器、民族文物、工艺美术、藏传佛教、万佛寺石刻、张大千书画、汉代陶石艺术等10个常设展览,还有4个临时展厅,用于举办各类临时展览。新馆还建有可容纳200余人的学术报告厅,用于各种大型会议和学术讲座。
主体建筑采用"门、堂、廊“的中国传统建筑元素构成空间序列,主体建筑围绕“T”形的中庭来组织各种功能,地下层为车库及设备机房,底层为文物库房、修理房,二层为展览区,从室外大平台直接进入。展览区分为三层,第1层设有四川汉代陶石艺术展、多功能厅会议接待室;第2层为巴蜀青铜器展厅、陶瓷精品展厅、书画馆、张大千作品展;第3层是藏传佛教文物馆、万佛寺石刻馆、四川民族文物展、工艺美术馆、百年四川馆。
主体建筑西侧为办公区,设有培训中心、科研办公场所和信息中心;东南侧与主体建筑以空廊连接的是服务性商业区,设有商铺和茶坊。
귀섬어도등 龜蟾魚陶燈 龟 [guī] 거북, 蟾 [chán] 두꺼비
동한시대 작품
등잔인데 맨 아래 거북이 있고 그 위에 두꺼비가 있다.
청유마靑釉馬
청유마靑釉馬 푸른 유약을 바른 말
당나라 때 작품
평염요平焰窯
窑 [yáo] 이체 窰 窯
1. (기와나 도기를 굽는) 가마.
2. 탄갱(炭坑).
3. (사람이 사는) 동굴.
사천지방요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목질시 木質谥
谥 [shì] 이체 諡 번체 謚 1.시호(諡號).2.시호를 주다[받다].
谥웃을 익,시호 시 1. 웃다 2. 웃는 모양 a. 시호(諡號) (시)
장대천 서화관 张大千书画馆
张大千 [Zhāng Dàqiān] 쟝따치엔(1899-1983). 장대천(張大千).
[중국 현대의 화가. 쓰츄완(四川) 네이지앙(内江) 사람.
먹물이 번져나게 하는 발묵화(潑墨畫)로 유명함.]
장대천이란 인물이 5백년내에 제일이라는데 난 잘 알지 못하는 분이다.
张大千书画馆
四川博物院收藏了大量张大千先生画作,尤其是临摹敦煌壁画。张大千临摹敦煌壁画200余幅,四川博物院收藏了183幅。张大千先生在敦煌时间有限,绝大部分是未完稿,他将临摹的画作带回四川后,先后折叠装箱辗转存放于昭觉寺、沙河村等地。1963年,张大千先生家人将该批文物正式捐赠四川博物院收藏至今
장대천 돈황벽화 임모
좀 더 많은 돈황벽화 임모 작품을 만날 수 있다.
중국 사이트
四川民族文物馆
사천성 지형도
민족 분포도
메모가 부실하여 이게 아래 영락인지 아닌지 잘 모르겠다.
소수민목의 예술품이 전시되어 있는데
내 눈에는 다 그게그거인데 민족마다 약간 차이는 있다.
璎珞 [yīngluò]
1. 영락
2. 고대(古代)의 목에 두르는 구슬을 꿰어 만든 장식품
瓔珞
1. 구슬을 꿰어서 만든 장신구
2. 금관 따위에 매달아 반짝거리도록 한 얇은 쇠붙이 장식
璎옥돌 영 1. 옥돌(玉-) 2. 구슬 목걸이
珞 구슬 목걸이 락,구슬 목걸이 낙,조약돌 력,조약돌 역
1. 구슬 목걸이 2. 단단한 모양 a. 조약돌(작고 동글동글한 돌) (력)
장전불교문화관藏传佛教文物馆
四川是中国的第二大藏区,由于特殊的地理位置,四川博物院收藏的藏传佛教文物十分丰富。
这些文物全面反映了一千年多来佛教文化在藏族地区的传播和发展。藏传佛教对藏民族的影响是广泛而深刻的,
渗入其历史、政治、经济、文化、教育和风俗习惯中,成为藏族广泛信仰的宗教,并且通过长期的民族文化交流,
它又传入蒙古族、土族、裕固族、珞巴族、门巴族、纳西族、普米族等民族中,在西藏、四川、云南、甘肃、青海、新疆、内蒙七省流传,并传入锡金시킴、不丹부탄、尼泊尔네팔、蒙古몽골人民共和国及俄罗斯的布里亚特(러시아 뷰랴트)等国家和地区。
소수민족 중에서 티벳 불교관이 따라 상설전시하고 있다.
장전불교의 주요 사찰 일람표
이게 티벳불교 작품인듯도 한데
위 장대천 선생 돈황석술 임모작인지 메모가 부실하다.
<작성 2019.7.18 목>
'중국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4차 중국여행 14/15일차 성도시 망강루공원 및 관착항자 (2019.4.17 수) (0) | 2019.05.02 |
---|---|
제14차 중국여행 14/15일차 성도시 무후사 (2019.4.17 수) (0) | 2019.05.02 |
제14차 중국여행 13/15일차 성도시 도강언시 도강언 (2019.4.16 화) (0) | 2019.05.01 |
제14차 중국여행 13/15일차 덕양시 백마관 방통사 (2019.4.16 화) (0) | 2019.05.01 |
제14차 중국여행 13/15일차 덕양시 덕양문묘 (2019.4.16 화) (0) | 2019.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