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이야기

기생충(2019.6.12 수)

무논골 2019. 6. 14. 18:29

국제적인 상을 받은 영화라서

아내와 아이들이랑 보려했었다.


회사 행사로 영화를 봤다.


아내와 아이들도 영화를 보고 조잘대던 게 엊그제 같은데

영화를 보고 한달 반 만에 블러그에 올리려니 

모든 게 잊혀졌다.


영화 보고 나서 내 느낌도

조잘대던 아이들의 평론도


혹시 기억나는 게 있으면 하나씩

수정 메모해야겠다.


<작성일 2019.7.28 일>


아래는 다음영화에서 받은 것입니다.









 

기생충 (2019)  PARASITE

평점  7.8/10   드라마 한국

2019.05.30 개봉 131분, 15세이상관람가  


(감독) 봉준호 (주연) 송강호, 이선균, 조여정, 최우식, 박소담, 이정은, 장혜진 


“폐 끼치고 싶진 않았어요”


전원백수로 살 길 막막하지만 사이는 좋은 기택(송강호) 가족.
장남 기우(최우식)에게 명문대생 친구가 연결시켜 준 고액 과외 자리는
모처럼 싹튼 고정수입의 희망이다.


온 가족의 도움과 기대 속에 박사장(이선균) 집으로 향하는 기우.
글로벌 IT기업 CEO인 박사장의 저택에 도착하자
젊고 아름다운 사모님 연교(조여정)가 기우를 맞이한다.

그러나 이렇게 시작된 두 가족의 만남 뒤로, 걷잡을 수 없는 사건이 기다리고 있었으니…


[ ABOUT MOVIE ]


극과 극의 삶을 사는 두 가족의 만남이 빚어낸 신선한 스토리


“같이 잘 살면 안 될까요?”


공생이 어려워진 각박한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
봉준호 감독은 <기생충>에서 전작을 통틀어 최초로 가족 구성원을 부모와 자녀가 다 함께 있는 형태로 설정했다. 또한 봉준호 감독의 작품 중 지금, 여기라는 시공간적 특성이 가장 중요하게 고려된 영화다. 주인공들은 지금 여기, 마치 우리 옆집이나 옆 동네에 살고 있을 것만 같은 두 가족이다. 이 두 가족은 부모와 자녀로 이뤄진 4인 구성이라는 닮은 점도 있지만 그 삶의 형편은 그야말로 극과 극이라 일상에서 만날 일도 엮일 일도 없어 보인다. 그러나 ‘과외 면접’이라는 상황이 주어지면서 두 가족 사이에 연결점이 생기고, 예측 불가능한 만남이 시작된다.


돌이켜보면 봉준호 감독의 영화는 언제나 현시대에 대한 이야기였다. <설국열차>에서는 부와 권력에 따라 서열화된 우리 시대 계급 문제가 보였고, <옥자>에서는 공장식 축산 시대 속에 고통받는 동물들의 문제가 있었다.


그런 그가 <기생충>에 등장시킨 주인공은 도저히 만날 일 없어 보이는 극과 극의 삶의 조건을 가진 ‘두 가족’이다. ‘어설픈 의도’와 ‘몇 번의 우연들’이 겹치며 예측불허의 상황으로 빠져드는 두 가족의 운명은 공생(共生)을 꿈꾸는 것 자체가 점차 공상(空想)이 되어가는 현대 사회의 자화상을 보여준다.

영화 <기생충>에는 악인이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도 눈여겨볼 만하다. 두 가족의 충돌이 매번 예측할 수 없는 사건들을 터트리며 관객들에게 웃음과 슬픔을 선사하지만 <기생충> 인물 그 누구도 악한 의도를 가지고 있지 않다.

우리는 항상 상생 또는 공생을 바란다. 하지만 그것이 쉽지 않다는 것 또한 느낀다. 그것은 개인의 의지나 잘잘못과 무관한 것이 되었다. 봉준호 감독은 현재의 자본주의 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함께 잘 산다’는 것에 대해 그만의 방식으로 질문을 던진다.

'영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전장(2019.7.29 수)   (0) 2019.07.31
나랏말싸미(2019.7.27 토)  (0) 2019.07.27
더 캡틴(2019.4.27 토)  (0) 2019.04.27
극한직업(2019.2.16 토)  (0) 2019.02.16
뺑반(2019.2.4 월)  (0) 2019.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