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이야기 63

서울 은평구 수국사(2020.7.4 토)

토요일 아침 아이를 태워 은평중학교에 왔다. 아이가 무슨 시험을 본다는 것이다. 혼자 갈 수도 있지만 동승동행을 자청하였다. 아이가 수험장으로 들어가고 눈에 들어오는 이정표,수국사가 있어 더듬어 왔다. 수국사는 봉선사와 더불어 寺格이 쌍벽을 이루었다는데 난 여태 수국사에 대하여 정보가 없었다. 가까운 석조상이 용왕전이다. 황금색 대웅보전이 보인다. 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 본사인 조계사(曹溪寺)의 말사이다. 역사적 변천 1459년(세조 5)세조는 어린 나이로 죽은 세자 덕종(德宗)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 왕 명의로 창건하여 정인사(正因寺)라고 하였다. 1457년 8월 덕종이 죽자 이듬해 백성에게 부담을 주지 말고 최소한의 비용으로 검소하게 절을 지어 덕종의 넋을 위로할 것을 명하여, 착공 1년 만에 완공하..

서울이야기 2020.07.04

서울 노원구 경기 남양주시 불암산(2019.6.29 토),서울 강남구 수서동 필경재(6.30 일)

불암산 서울 노원구와 경기 남양주시 별내면의 경계에 있는 산 고등학교 시절 친구들과 불암산에서 우의를 다졌다. 불암사에 들어가지는 않고 불암사 오른쪽 등산로를 따라 올라가 지도에서 보이는 깔닥고개를 만나 오른쪽으로 거북바위 근처까지 갔다. 하산하는 길도 올라간 길을 되짚..

서울이야기 2019.07.06

서울특별시 도봉구 연산군묘(2019.3.23 토)

사는 집에서 그다지 멀지 않은 곳에 연산군 묘가 있다. 오가는 길에 이정표를 본 적도 있고 2018년 12월에 영화 연산일기(http://blog.daum.net/jesibam/856)를 보기도 하여 방문하고 싶은 마음이 있었는데 오늘 드디어 거치게 되었다. 연산군묘 묘역 왕릉이라면 왕 또는 왕비의 능이 오롯이 조성되는 법이지만 여기 연산군묘역에는 연산군묘 외에도 몇 기의 묘가 조성되어 있다. 사진 맨 안쪽이 연산군과 그의 부인 묘이다. 묘역 맨 앞에 있는 연산군의 딸(오른쪽)과 사위 구문경 묘 연산묘로 가고 있다. 태종의 후궁 의정궁주 조씨 묘 호분석이 방형 석물로 되어 있다.고려의 유풍이 남아있는 듯하다 연산군과 거창군부인 신씨묘 곡장에서 바라본 연산 묘 태종의 후궁 의정궁주가 연산군 묘에 위아래 인..

서울이야기 2019.03.23